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중은행, ESG 채권 발행 활발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시중은행, ESG 채권 발행 활발

수은 로드맵에서 2030년까지 200억 달러 목표 세워
최근에도 KB국민 3300억 원, 하나은행 4350억 원 등 ESG 채권 지속 발행

시중은행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을 발행하는 등 ESG경영의 고삐를 죄는 것은 친환경 사업과 금융약자·중소기업 지원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기업가치 상승을 선도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6일 시중은행에 따르면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 1일 ESG경영 로드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200억 달러 규모의 ESG 채권 발행을 목표로 세웠다. 또 2030년까지의 정량목표로 ESG 여신 180조 원 공급, 기관 탄소배출량 50% 감축 등을 함께 제시했다.
ESG 채권은 발행기관이 조달한 자금을 친환경 또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사용하겠다고 약속한 특수목적 채권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17일 3300억 원 규모의 원화 지속가능 상각형자본증권(후순위채권)을 발행했다. 발행된 채권은 수요예측에서 KB국민은행의 우수한 대외신인도와 재무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총 4200억 원의 응찰이 몰려 흥행에 성공했으며, KB국민은행은 당초 계획 대비 300억 원 증액된 3300억 원을 발행했다. 채권의 발행 만기는 10년이며, 발행 금리는 국고채 10년물 금리에 50bp(1bp=0.01%포인트)를 가산한 연 2.58%로 결정됐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BIS비율 제고와 ESG 경영 정책의 하나로 지속가능 후순위채권을 발행했다"면서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최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 등 ESG분야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은 앞서 4월에는 5억 달러 규모의 5년 만기 선순위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했다. 조달 자금은 KB국민은행 지속가능 금융 관리체계에 해당하는 친환경과 사회 프로젝트 지원 등에 사용된다.

KB국민은행은 2018년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외화 지속가능채권을 발행한 후 지속해서 ESG채권을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 주요 ESG채권 발행사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신한은행은 4월 5억 달러, 5월 4000억 달러 규모의 ESG채권을 발행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발행자금은 발행 취지에 부합하는 국내외 친환경 관련 사업과 금융약자 지원 사업 등에 활용할 예정"이라면서 "앞으로도 그룹과 은행의 ESG 경영의지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자 저변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 ESG채권 발행을 우선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6억 달러 규모의 ESG채권과 4350억 원 규모의 ESG후순위 채권을 발행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발행 자금은 국내외 친환경 사업과 취약계층 지원 사업 등 채권발행 취지에 맞게 사용될 계획"이라면서 "향후에도 활발한 ESG경영 실천을 위해 ESG채권을 통한 자금 조달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우리은행도 올해들어 지난 1월 5억5000만 달러의 ESG채권을 발행했으며 5월 3000억 원의 ESG채권을 추가로 발행했다. 조달 자금은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과 한국판 뉴딜 정책에 발맞춰 신재생에너지 개발, 일자리 창출 등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사업, 사회적 취약계층 등을 위해 사용된다.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ESG채권의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최근 ESG에 대한 기준과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ESG경영은 선택이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위한 주요 경영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면서 "국내 대기업과 금융기관들은 환경 변화에 대응해 ESG경영을 선언하고 다양한 ESG 관련 경영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필유 선임연구원은 또 "ESG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ESG채권의 발행도 대폭 증가했다"면서 "국내 ESG채권 발행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투자를 확대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통한 기업가치의 상승을 도모하며, 발행 채권의 투자자 저변을 넓히고, 조달비용을 낮출 목적으로 ESG채권을 발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