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환율,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떨어지기 어려워"

공유
0

한은 "환율,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떨어지기 어려워"

서영경 금통위원, '2023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 경기적 요인은 물론 대(對)중국 경쟁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탓

서영경 한국은행 금통위원은  '2023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팬데믹 이후의 뉴 노멀: 환율 변동의 파급경로 변화'를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떨어지기 어렵다 고 말했다. 사진=뉴시스
서영경 한국은행 금통위원은 '2023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팬데믹 이후의 뉴 노멀: 환율 변동의 파급경로 변화'를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떨어지기 어렵다" 고 말했다. 사진=뉴시스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떨어지기 어렵다"

2일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023 BOK 국제컨퍼런스'에 참석해 '팬데믹 이후의 뉴 노멀: 환율 변동의 파급경로 변화'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환율은 미 달러 강세와 무역흑자 축소, 해외투자 증가 등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변동성이 크다.
서 위원은 "그 배경에는 경기적 요인은 물론 대(對)중국 경쟁 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해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와 달리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 안정화 경로'가 약화됐다”고 분석했다.

서영경 위원은 "수출입 가격의 달러 표시 확대, 중간재·에너지의 높은 수입 의존도 등으로 원화가 절하 되어도 수출 증가와 수입 감소 효과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서 위원은 원화 약세와 변동성 증가에도 자본 유입이 급감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 대외자산 증가에 힘입어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 문제가 크게 완화된 탓이다.

서영경 위원은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 안정화 기능이 약화됐으므로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수출 경쟁력 강화, 수출 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 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본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 안정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선 해외 직접투자의 배당금 환율 여건 개선,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유인 확대 등 경제·금융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한국처럼 자국통화가 국제화되지 않은 국가가 '물가안정·금융안정·대외안정' 간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선 건전한 거시경제 정책과 외환시장 안정화 정책을 병행하는 통합 정책 체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