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2금융, 가계대출 연체율 ‘카드 사태’ 이후 최악…“잠재부실 위험↑”

공유
1

2금융, 가계대출 연체율 ‘카드 사태’ 이후 최악…“잠재부실 위험↑”

저축은행 연체율 8% 돌파…캐피털·카드 각각 6.2%, 2.2%
3건 이상 대출 받은 다중채무자 비중 전체 ‘60~75%’ 수준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로 인해 2금융권 가계대출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금리 상승과 경기 침체로 인해 2금융권 가계대출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기 악화로 인해 카드회사와 캐피털사 등 2금융권의 자산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 2003년 카드 사태 이후 가장 높다. 영업환경도 좋지 않다. 조달비용 증가와 대손부담이 확대한 가운데, 부동산 관련 잠재부실 위험도 커지면서 2금융권을 위협하고 있다.

1일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등 3대 신용평가사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가계신용대출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저축은행이 8.8%로 가장 높고, 캐피털사와 카드사가 각각 6.2%, 2.2%로 집계됐다. 연체율(3개월 이상) 기준으로는 저축은행이 3.7%, 캐피털사 2.5%, 카드사 1.2% 수준으로 나타났다.

2금융권은 자산 건전성 악화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최저적립 기준 대비 1.8배 이상 적립하고 있지만,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점은 부담이다. 특히 차주 구성을 보면 세개 업권 모두 다중채무자 비중이 60~75% 수준으로 높아, 우려가 크다. 올해 상반기 개인회생 접수 건수는 6만1000건으로 전년동기(4만2000건) 대비 1.4배나 급증했다.

조달비용 상승에 따른 건전성 부담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캐피털사의 평균 조달비용률과 대손부담률은 각각 3.6%, 1.6%로, 최근 3개년 평균 대비 각각 약 1.0%p, 0.7%p 증가했다. 금리상승의 효과가 본격화하고 있지만, 영업자산 중 기업·투자금융의 비중이 높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통한 건전성 개선도 기대하기 어렵다.

한국신용평가는 보고서를 통해 “금리 상승기에는 디레버리징을 통해 자산과 차입부채 규모를 감축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낮추는 게 일반적”이려면서도 “(캐피탈사) 기업·투자금융은 대부분 투자원금이 만기에 일시상환되며 평균 만기 또한 전통적인 영업자산에 비해 길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지고 투자금액이 커 부실 가능성도 높다”고 진단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수신금리 상승에 따른 예대마진 축소와 대손상각비에 더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 분석 결과, 저축은행의 올해 상반기 말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는 9.4% 감소했으며 자기자본 대비 비중도 작년 말 141%에서 120%로 축소했다. 브릿지론 감소분은 양호한 담보가치를 보유한 물건을 중심으로 리파이낸싱(refinancing)하거나 일부 본PF로 전환한 영향이다.

나이스신평 측은 “급격한 가격하락으로 적정 수준의 할인매각 등이 어려운 가운데, 저축은행 PF대출 자율협약 등을 통해 투자자들이 좀 더 시간을 두고 PF 사업성 개선이나 투자자금 회수를 모색하는 상황”이라며 “PF 사업지연으로 요주의이하여신비율이 급등한 반면, 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 폭은 크지 않아 부동산시장 부진이 심화될 경우 대손비용이 큰 폭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손충당금 적립이 가장 잘 돼 있는 카드사도 안심할 수준은 아니다. 신용카드사 현금서비스의 차주 신용점수 구성은 600~699점 50%, 500~599점 11%로 캐피털사보다 열악하다. 특히 카드사의 소액대출(1000만 원 미만) 비중은 2023년 6월말 52.7%로 캐피털사(17.9%)와 저축은행(21.6%) 보다 월등히 많다. 신용카드사의 소액대출 비중이 높은 이유는 현금서비스과 리볼빙이월잔액 때문인데, 특히 500만 원 미만 대출은 500만 원~1000만 원 대출보다 차주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매우 높게 평가된다.

한국기업평가는 “현금서비스는 신용점수, 대출금리, 대출금액 등 감안 시 차주의 질이 열위에 있어 고금리 및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먼저 나타날 것”이라며 “(카드사는) 가계신용대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어 위험차주 유입 가능성에 대해 점검이 필요하다”고 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