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김 위원장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당국과 17개 은행장 간 간담회에 참석해 "상생금융 방안과 관련해 조속히 합리적 방안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관심을 부탁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은행장 간담회는 지난 20일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에 이어 진행되는 금융권 릴레이 간담회의 일환이다. 금융당국은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 이후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업권별 릴레이 간담회 개최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스스로가 은행산업에 있다는 것을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산업으로 만들었으면 한다"며 "은행 임직원의 정직성을 믿을 수 있다는 인식, 국민들이 어려울 때 같이 옆에 있어주는 조직이라는 인식, 첨단기술로 혁신해나가는 스마트한 사람들이라는 인식을 국민들에게 심어주어야 한다"고 운을 뗐다.
금융당국도 은행권의 상생금융 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은행권의 논의를 적극 지원하면서 제2금융권을 이용하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 분들도 금리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고금리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상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의 범위와 지원수준의 대폭 확대 등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그는 "가계부채가 세계 최고 수준까지 증가했다"면서 "우리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관점에서가 계부채 관리에 대한 은행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계부채 관리와 취약층 지원 간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며 "코로나 시기를 빚으로 버텨온 분들의 부채상환 부담을 덜어드리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은행의 고객기반을 보호하는 길이기도 하고, 가계부채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금융당국의 정책적 노력과도 맥락을 같이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간담회에 동석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를 주문하면서 은행권의 상생금융 노력을 압박했다. 이 원장은 "은행권이 자금중개기능과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여 우리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시기를 바란다"며 "특히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공급도 각 은행별 상황에 맞게 소홀함 없이 이루어지도록 은행장들께서 관심을 가져 달라"며 은행권의 상생금융을 압박했다.
아울러 민생침해 금융범죄 근절 노력도 요청했다. 그는 "금융소외계층이 비대면 금융범죄에 쉽게 노출되는 등 피해가 심각해져 가는 상황"이라며 "최근 은행권과 함께 종합 대응방안을 마련하였는데, 은행권이 민생침해 금융범죄 근절에 앞장서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은행권은 자영업자·소상공인 이자부담 경감 방안 마련을 위해 관련 대출 현황을 은행별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생금융 세부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정부도 상생금융 관련 논의를 지원하기 위한 관계부처‧유관기관 TF를 발족하고 지난 22일 첫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