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후불결제 연체율 위험수위] ‘혁신금융’인가 ‘신불자’ 양성인가…네·카·토 연체율 6%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1

[후불결제 연체율 위험수위] ‘혁신금융’인가 ‘신불자’ 양성인가…네·카·토 연체율 6%

신용점수 관계없이 ‘신용불량자’도 이용 가능
연체율 악화 뚜렷한데 별다른 ‘방지 장치’ 없어
주요국 BNPL 규제 움직임…韓만 사실상 방치

국내 후불결제 운영 업체들의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후불결제 운영 업체들의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사진=로이터
혁신금융으로 각광받았던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후불결제’(Buy Now Pay Later: BNPL) 연체율이 평균 5.8%로 급격히 악화되자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300만 명 넘는 국내 BNPL 이용자들은 주로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학생·주부·사회초년생이나 신용불량자 같은 금융 취약계층들인데 경기침체로 가계부채의 또 다른 뇌관이 되고 있다.

해외 주요국들과 BNPL 업체들은 BNPL 연체율이 급증하자 대응방안을 찾고 있지만, 국내에선 별다른 대책이 없어 부실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11일 금융권과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네이버, 카카오, 토스의 후불결제 서비스 가입자 수는 302만 명으로 집계됐다. BNPL 이용자는 최근 1년간 급증하는 추세다. 토스의 BNPL 가입자 수는 작년 154만 명에서 올해 6월 223만 명으로 무려 44.8% 급증했고, 같은 기간 네이버도 66만 명에서 74만 명으로 12.1% 크게 늘었다.

우리나라 BNPL 시장은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 적용을 받아 최대 30만원 한도로 제한돼 있다. 미국과 달리 분할 납부는 불가능하다. 다만 다른 금융상품과 달리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사실상 이용에 제한이 없다.
문제는 연체율이다. 최근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후불결제에 대한 연체율과 액수 모두 급증하는 추세다. 올해 6월 기준 카드사 연체율은 1.58%를 기록한 반면, 후불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연체율 평균은 5.8%를 기록했다.

올해 3월 평균 4.4%와 비교하면 한 분기 만에 평균 1.4%포인트(p) 증가했다. 이용자가 가장 많은 토스만 보면 올해 2분기 연체채권이 17억1000만원으로 직전 분기(15억9000만원)보다 7.4% 증가했고, 연체율도 같은 기간 5%에서 7.76%로 악화한 상황이다.

BNPL은 한때 금융 소외계층에 대한 대안금융으로 주목받았지만,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현재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과도한 부채와 연체율 상승에 기여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해외 주요국 BNPL 업체들은 연체율을 줄이기 위해 자체적인 대응방안 마련에 분주하다.

스웨덴의 대표적인 BNPL 업체인 ‘클라르나(Klarna)’는 이용자의 건전한 금융생활을 위해 ‘Money Story’라는 앱을 내놨다. 지출 내역 확인 기능과 자금 관리 도구를 이용해 BNPL 서비스 사용자가 스스로 지출 패턴을 이해하고 소비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호주의 ‘세즐(Sezzle)’도 구매 시 가격의 절반을 결제하고 나머지는 2주 후에 지불하는 ‘Pay-in-2’ 옵션 등을 추가하고, 결제 시 신용보고 기능인 Sezzle Up을 선택하면 지출 내역이 신용조사기관에 제출돼 신용점수도 쌓을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 빅테크들은 연체율 악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신용 개선을 위한 별다른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사실상 연체율을 방치하고 있는 셈인데, 지난 국정감사장에서도 이런 문제가 지적된 바 있다.

전문가들 역시 국내 BNPL 서비스 업체들이 금융소비자 보호 및 안정적인 연체율 관리를 위해 소비자의 현명한 소비를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금융당국도 BNPL 서비스의 부작용과 해외 규제 동향을 검토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소비자보호재단 측은 보고서를 통해 “후불결제 이용자들이 소득보다 높은 과소비를 해 구매대금을 상환하지 못하거나, 상환할 수 있지만 고의로 연체를 방치하고 다른 후불결제로 옮겨 연체를 반복할 우려가 있다”면서 “연체정보 공유와 이용자들의 상환능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