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후변화로 연간 강수량 1m 늘면… "지역내총생산 2.54% 하락"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기후변화로 연간 강수량 1m 늘면… "지역내총생산 2.54% 하락"

기온 1℃ 상승시 도·소매업, 부동산업 부가가치 성장률도 하락

지역별 영향 평가.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지역별 영향 평가. 사진=한국은행


기후변화로 연간 강수량이 1m 증가하면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 성장률이 2.5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성이 높은 농업·임업·어업은 총 강수량 1m 상승시 15.93% 수준의 부정적 한계효과가 나타났다.
연평균 기온이 1℃ 상승할 경우 도·소매업, 부동산업 등 실질 부가가치 성장률도 각각 1.85%, 1.73%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지원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18일 '국내 기후변화 물리적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연 총강수량 증가가 지역내총생산(GRDP)에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들은 국내 기후 조건을 반영해 피해함수를 추정한 결과 연 총강수량 1m 증가시 1인당 GRDP 성장률이 2.54% 감소한다고 밝혔다.

이는 해외 연구의 결과와는 대조적이다. 해외 연구에서는 평균기온의 장기 성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주로 나타났는데 국내의 경우 특히 강수량 관련 리스크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1979년 전국에 기상관측망이 설치된 이후 국내 연평균 강수량은 1039㎜에서 2020년에는 1630㎜로 약 59% 증가했다. 지난 100여년간 연평균 강수량은 평균적으로 10년마다 약 16㎜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평균 강수량 변동폭은 최저 754㎜(1939년)에서 최고 1756㎜(2003년)로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 변동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9.84%), 비금속광물·금속제품 제조업(-6.78%), 금융·보험업(-3.62%) 등 주로 야외 작업 비중이 높거나 노동 생산성 영향이 크고 원자재 수급 및 공급망이 중요한 산업에서 부정적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 과장은 “강수량이 많아지면 건물이나 차량 등이 침수 피해가 있었을 때 보험금의 청구가 증가하거나 또는 보험을 통해서 손실을 보전하지 못한 차주의 경우에는 손실이 금융의 손실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후변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농업·임업·어업의 경우, 총 강수량 1m 상승과 관련 15.93% 수준의 부정적 한계효과가 나타났다. 농업의 경우 호우나 태풍 등 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과수작물의 생산효율성이 떨어지고 강수량 및 상대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병해충 피해가 증가해 실질 부가가치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연평균 기온이 1℃ 상승할 경우 도·소매업, 부동산업 등의 실질 부가가치 성장률이 각각 1.85%, 1.73%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 과장은 “부동산업 같은 경우는 냉방시설을 확충하는 설비 비용의 증가 또는 에너지 사용 비용의 증가에 따른 유지 비용 증가, 보수 비용의 증가에 대한 영향을 주로 받는다”며 “도소매업은 재고 유지 비용 증가, 직·간접적 재고 자산 피해, 원자재 수급 및 상품 운송 등 공급망 이슈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 생산성과 자본은 주로 공장 설비와 유지보수, 재고 관리, 재고 손실 등에 따른 관리 비용의 영향을 받는다. 노동력은 노동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식중독이나 전염병으로 인해 조업이 중단되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품은 연평균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선호도가 변화함에 따라 수요가 변동될 수 있고 요소 상품 자재는 공급망 문제나 원자재 수급 차질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산업별 피해함수 추정치를 바탕으로 연 평균기온과 연 총강수량이 실질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기후변화 영향이 5년간 누적되는 상황을 가정할 경우 건설업(-4.90%), 부동산업(-4.37%), 섬유 의복·가죽제품(-2.53%), 비금속광물·금속제품(-1.76%), 금융·보험업(-1.13%)에서 피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위도상 남쪽에 위치하거나 도시화 및 산업화 비중이 높은 지역인 제주(-3.35%), 경남(-2.39%), 대전(-1.54%), 부산(-1.31%), 대구(-1.03%), 인천(-0.93%), 울산(-0.88%), 서울(-0.75%) 등에서 피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장은 “남쪽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기온이 높고, 산업화 비중이 높은 지역의 경우 불투수면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자연재해 피해를 더 많이 받는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본 추정치는 홍수, 가뭄, 산불 등 급성 리스크로 인한 직접적 피해의 영향에 대한 예측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고려할 경우에 피해 수준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과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점진적 온도와 강수량의 상승이 거시경제의 장기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장기 성장 관점에서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적응(adaptation)적 대응과 적응 금융에 대한 정부와 금융권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한 “각 산업에서는 원활한 사업 운영과 미래 전략 측면에서 장기적 시계의 물리적 리스크 관련 식별 평가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체계적 인식 및 대응이 중요하다”며 “근본적으로는 탄소 중립에 대한 노력이 필수적이며 기후위기 적응은 온실가스 감축과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한 축임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와 탄소 중립 이행 리스크는 서로 상충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 두 가지 리스크를 함께 감안했을 때 종합적으로 어떤 방향의 대응이 필요한지 정확한 정량적인 리스크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를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훈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unjuro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