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뱅 출범 7년②] 케이뱅크 3년 개점휴업 '후유증'… 증시 입성 돌파구 만들까

공유
0

[인뱅 출범 7년②] 케이뱅크 3년 개점휴업 '후유증'… 증시 입성 돌파구 만들까

카뱅과는 멀어지고 토뱅엔 바짝 추격 허용
2년 만에 IPO 재추진…몸값 산정 주목
보수적인 기업문화 약점 지적도

지난 2017년 4월 3일 당시 임종룡 금융위원장(현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제1호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 개소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17년 4월 3일 당시 임종룡 금융위원장(현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제1호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 개소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인터넷은행 업계의 '비운의 아이콘'으로 일컬어진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재추진하는 가운데 적정 몸값을 받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케이뱅크는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지난 2017년 야심 차게 출범했지만, 자본 확충 문제로 4년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를 겪으면서 후발 주자인 카카오뱅크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설상가상으로 2021년 출범한 토스뱅크가 혁신 서비스를 잇따라 내놓으며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금융당국이 4호 인터넷은행 인가를 저울질하면서 케이뱅크가 설 자리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케이뱅크는 IPO를 통해 자금을 확보해 이 같은 샌드위치 신세를 타개하고 신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는 IPO 안건을 통과시켰다. 지난 2022년 상장 계획을 철회한 이후 재수에 나선 것이다.

다만, 케이뱅크를 둘러싼 환경이 우호적이지만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후발 주자인 토스뱅크의 추격세가 심상치 않다.

토스뱅크는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고객 수 9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고객을 가장 많이 확보한 카카오뱅크(2300만 명)와는 차이가 크지만, 케이뱅크(953만 명)와는 불과 50만 명 차이다.

전통 은행들과 달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성장한 인터넷은행들은 '얼마나 많은 고객을 확보했느냐'가 향후 성장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여겨진다. 전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성장한 카카오뱅크와의 격차는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2021년 10월 영업을 시작해 출범이 4년이나 늦은 토스뱅크한테 바짝 추격을 허용하면서 케이뱅크의 조바심을 키우고 있다.
실적은 아직 케이뱅크가 앞선다. 하지만 연내 역전을 허용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온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48.4% 감소한 132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반면 카카오뱅크는 같은 기간 21.2% 증가한 954억원의 순이익을 냈고, 토스뱅크 역시 지난해 3분기 86억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출범 2년 만에 분기 단위 첫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3분기 누적으로는 아직 토스뱅크가 198억원의 순손실로 적자가 이어지고 있지만, 분기 흑자 전환이 예상보다 빨랐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실적 개선세가 나타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케이뱅크의 부진은 계속된 불운이 원인으로 꼽힌다. 가장 먼저 영업을 시작했지만 2017년 출범 당시 최대주주였던 KT가 공공 전용회선 담합과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검찰 고발을 당하면서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중단됐고, 증자를 하지 못하면서 4년 넘게 개점휴업 상태로 있었다. 결국 BC카드가 모회사인 KT를 대신해 최대주주로 나서 자금을 수혈했지만 이미 후발 주자인 카카오뱅크가 시장을 장악한 뒤였다.

상장 추진 과정에서도 불운이 이어졌다. 지난 2022년 케이뱅크는 상장을 시도했지만 2021년 8월부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섰고 금리 인상으로 투자시장이 급격하게 얼어붙으면서 상장을 미뤘다.

과거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된 '소유분산기업'인 KT그룹이 대주주인 점도 혁신의 장애물로 거론된다. 빅테크 기업인 카카오와 토스(비바리퍼블리카)가 대주주인 카카오뱅크·토스뱅크와 달리 KT의 보수적인 기업문화가 혁신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최고경영자(CEO)가 '대표'로 불리는 데 반해 케이뱅크는 '은행장'을 택했다는 데서 보수적인 조직문화를 단편적으로 알 수 있다는 예라는 분석이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