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연체액 약 5000억 원…2차 펀드 조성엔 저축은행 전체 참여
금감원 ‘금융권 펀드 추가 조성’ 통해 지원사격…주거안정 기대
금감원 ‘금융권 펀드 추가 조성’ 통해 지원사격…주거안정 기대

11일 저축은행 업계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조성한 ‘PF 부실채권 정리 및 정상화 지원을 위한 펀드’ 330억 원 중 260억 원이 소진됐다. 나머지 70억 원은 1개 사업장에 대해 투자심의위원회 등 절차를 거쳐 설 연휴 이후 자금 집행을 계획하고 있다.
앞서 저축은행업계는 작년 9월 저축은행중앙회와 BNK·IBK·KB·NH·OK·신한·우리금융·웰컴·하나·한국투자저축은행 등 10개사가 투자자로 참여해 330억 원 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펀드 자금은 PF 사업장 규모에 따라 자산유동화를 통한 투자 및 부실채권 매입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향후 2차 펀드는 전체 저축은행이 참여해 PF 정상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작년 9월 말 기준 저축은행업계의 PF 연체 잔액은 약 5000억 원으로 연체율은 5.56%에 달한다. 특히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5000억 원에 이르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나 된다.
금감원은 부실 사업장 정리를 지원하기 위해 금융회사·건설업계·신탁사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시장에 나오는 매물 소화를 위한 금융권 펀드 추가 조성을 고려한다. 현재 사업성이 낮은 PF 사업장의 토지가 경매 등을 통해 시장가 등으로 저가 매각될 경우 분양가 14% 하락 등의 효과가 나타나 주거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당국은 전망했다.
금감원은 “최근 공사원가와 금융비용이 각각 24%, 60% 상승해 사업성이 악화함에 따라 높은 분양가(114)로 분양해야 하나 미분양 우려로 사업이 지연되는 상황이므로 낙찰가율 60%에 토지를 매각하면 새로운 사업장에선 낮은 분양가(98)로 분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