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5대 금융그룹 해외부동산 '위험노출' 20조원…손실 위험↑

공유
0

5대 금융그룹 해외부동산 '위험노출' 20조원…손실 위험↑

북미에만 11조원 집중…건전성 실사결과 요주의·고정 이하 15% 이상
작년 1조원 손실 장부 반영…개인투자자 참여 펀드 4000억 올해 만기

미국 뉴욕 월가의 뉴욕증권거래소(NYSE) 앞에 성조기가 나부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 월가의 뉴욕증권거래소(NYSE) 앞에 성조기가 나부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주요그룹의 해외부동산 투자․대출 자산 규모가 20조원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상업용 부동산(CRE) 시장 침체에 따른 글로벌 금융 위기 가능성까지 거론되 있어 대규모 손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들 자산 가운데 절반 이상인 11조원이 가장 취약한 북미 지역 부동산에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이 몰려있으며, 특히 일부 금융그룹의 실사 결과 이미 요주의·고정 이하 수준으로 분류된 위험 자산 비중이 15%를 훌쩍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금융그룹은 지난해 이미 1조원이 넘는 손실을 장부에 반영했지만, 미국 등 해외 부동산 부진이 이어질 경우 올해 더 많은 손실을 인정하고 막대한 충당금도 쌓아야 할 처지다.

18일 연합뉴스가 5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해외부동산 현황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해외부동산 관련 펀드를 비롯한 수익증권 투자와 대출 등을 모두 포함한 전체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약 20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북미(미국·캐나다) 지역 부동산 관련 건만 약 11조4000억원으로, 비중(55.9%)이 절반을 넘었다.

업권별 익스포저는 5대 금융그룹 계열 은행(7조5333억원)이 가장 많았고, 이어 증권사(3조5839억원)·생명보험사(2조7674억원)·손해보험사(1조6870억원) 등의 순이었다.

최근 수년째 미국 등 해외 부동산 시장이 높은 공실률의 상업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가라앉으면서, 5대 그룹의 관련 대출·투자 자산의 건전성도 급격히 나빠지고 있다.

이처럼 해외 부동산 관련 자산의 부실 규모가 점차 커지자 각 금융그룹도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장부에 이들 손실을 반영하고 있다. 5대 금융그룹이 일단 작년 실적에 계상한 해외부동산 관련 손실 규모만 1조550억원(손실 9550억원+관련 충당금 1000억원)에 이른다.

현재 5대 금융그룹의 해외부동산 펀드(사모·공모) 판매 잔액은 총 1조163억원으로, 이 가운데 466억원(상반기 1980억원·하반기 286억원)어치의 만기가 올해 돌아온다.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만기 도래한 해외부동산 펀드에서 확정된 손실은 지금까지 57억원 정도다. 하지만 현시점의 확정 손실 규모가 수 십억원 뿐이라도 관련 잠재 손실 위험까지 작은 것은 아니다. 손실이 불가피한 경우 투자자 간 합의를 통해 만기를 연장해가며 손실 확정 시점을 늦추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해외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기를 기대하며 최대한 시간을 끄는 셈이다.
5대 금융그룹은 일단 지금까지는 해외 부동산 관련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긴장 속에 해외 부동산 관련 개별 대출·투자 건에 대해 정밀 실사를 서두르는 등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KB금융은 그룹 차원의 대체투자 자산 모니터링 체계를 운영하면서, 해외 부동산 관련 추가 부실을 막기 위해 관리 자산을 위험 수준별로 분류해 월·분기별로 관리하고 있다.

신한금융의 경우 해외 부동산 현장 감리와 실사를 통한 사후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부동산 금융 한도 관리 기준을 세분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하나금융 역시 해외 부동산에 대한 주기적 점검과 현장 실사를 진행하고, 특히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의 경우 원칙적으로 신규 취급을 금지한 상태다.

우리금융은 월별 위기대응협외희·경영협의회를 통해 해외 상업용 부동산 자산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2024년 상반기 리스크 관리방향 가이드'를 마련해 해외 부동산 관련 대출과 투자를 보수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NH농협금융도 해외 부동산을 대상으로 전수 감리를 추진하고, 충당금 추가 적립도 검토 중이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