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예정자 200만여명 중 청년도약계좌 연계율 20%대에 그쳐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가 4일로 모두 끝났다. 지난해 12월 기준 청년희망적금 만기 예정자는 200여만 명, 적금 총납입액은 21조3750억원에 달했다.
7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 만기자 중 41만5000명이 전월 16일까지 청년도약계좌로 연계가입을 신청했다. 연계 신청은 20%대에 그쳤다.
청년도약계좌의 5년 만기가 부담된다는 것이다. 실제 2년 만기인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 289만 명 중 86만 명이 중도 해지를 신청했다.
시중은행은 갈 곳을 잃은 청년들의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청년저격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한 고객을 대상으로 우대금리 0.5%를 제공한다. 국민은행이 새롭게 출시한 '2024-1차 공동구매정기예금'에 가입할 시, 기본금리 연 3.50%(판매된 금액 100억원 초과 시)에 우대금리 0.5%를 받아 4.0%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공동구매정기예금의 만기는 3개월, 6개월, 12개월이다.
신한은행은 신한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한 고객을 대상으로 금리 우대 쿠폰을 제공한다. 신한은행 '마이플러스 정기예금' 12개월 만기 가입 시 최대 연 3.85%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청년 처음적금'도 출시했다. 기본금리 연 3.5%에 우대금리를 더해 최고 연 6.5%를 받을 수 있으며, 월 최대 납입액은 30만원, 만기는 1년이다.
하나은행은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한 고객을 대상으로 금리 우대 1.5%를 제공한다. 기간과 금액을 내 맘대로 정할 수 있는 (내맘)적금 가입 시 기간과 적립 방식에 따라 연 3.15%에서 3.65%의 기본금리를 받을 수 있다. 하나은행은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도 만 35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응원 특별금리 연 1.3%를 제공한다. 기본금리에 우대금리를 더해 연 5.85%(최대)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IBK기업은행은 IBK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한 고객을 대상으로 연 0.2%의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IBK 2024특판중금채'를 출시했다. 연 최고 3.99%의 금리로 100만원 이상 10억원 이내로 가입 가능하며 기간은 1년, 2년, 3년이다.
하민지 글로벌이코노믹 인턴기자 minjih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