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소득의 70% 이상을 대출 값는데 쓰는 대출자 275만명
부실 위험 채무자 비율도 증가세…다중채무자는 452만명
부실 위험 채무자 비율도 증가세…다중채무자는 452만명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자 1972만 명 중 약 275만 명(13.9%)이 연 소득의 70% 이상을 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이 중 157만 명(7.9%)은 평균 연 소득의 100% 이상을 빚 상환에 쓰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득의 전부를 대출 상환에 사용하고도 부족한 상황으로, 해당 가구의 생계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38.3%로 추산됐다. DSR은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최저 생계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소득을 대출 상환에 사용해야 하는 위험 수준으로 간주된다.
저소득층(소득 하위 30% 이하)이나 저신용 상태(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취약 차주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129만 명으로 집계된 취약 차주 중 36%인 47만 명이 DSR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은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36%로 전년 동기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으며,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도 2.12%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최 의원은 "취약 차주의 약 3분의 1은 감당하기 어려운 대출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가계 차주의 채무상환 부담 등을 면밀히 점검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금융당국의 면밀한 점검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