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주주 종이 통지서에… 8년새 나무 2만7820그루 소실

글로벌이코노믹

주주 종이 통지서에… 8년새 나무 2만7820그루 소실

지난 3월 20일 오전 경기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삼성전자 제55기 정기 주주총회가 열린 가운데 주주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3월 20일 오전 경기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삼성전자 제55기 정기 주주총회가 열린 가운데 주주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디지털 금융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주총회 소집, 배당, 증자 등 주요 소식을 안내하기 위해 종이 통지서가 발송되는 데 따른 비용과 행정력 낭비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부터 발송된 명의개서 통지서는 2억7820만2447건으로, 30년생 나무 한 그루가 1만장의 A4 용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면 약 2만7820 그루의 나무가 잘려나갔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의원이 한국예탁결제원, KB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명의개서 대행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주총 소집·배당 ·증자 등 주요 소식을 안내하기 위해 종이 통지서를 발행하는 업무에만 1066억원을 지출했다.

명의개서란 주주명부에 주주의 이름과 주소를 기재하는 것을 말하며 이 업무를 대행하는 명의개서 대행기관이 주주명부를 관리한다.
명의개서 대행기관은 주총 소집 통지나 배당금 지급 안내 등 중요한 서류를 주주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전자주주명부나 전자통지 제도를 활용하는 곳은 한 곳도 없어 시간과 비용, 행정력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상당한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또한 집으로 발송된 배당통지서를 가족 등 동거인이 받아 투자자의 투자내역 등을 확인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현재의 우편 통지 방식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상법 제363조(소집의 통지)에 따르면 주주총회를 소집할 때에는 주주총회일 2주 전에 각 주주에게 서면으로 통지를 발송하거나 각 주주의 동의를 받아 전자문서로 통지를 발송해야 한다. 주주들의 동의만 있다면 전자문서 통지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주주가 증권 계좌 개설 때 이메일 주소를 기입하지 않기에 전자문서로 대체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 또 전자기기 활용이 어려운 고령층 주주의 경우 전자문서로 대체할 경우 주주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도 있다.

유동수 의원은 "2016년부터 발송된 명의개서 통지서는 2억7820만2447건으로, 약 2만7820 그루에 해당하는 나무를 벌목한 셈이다"며 "전자투표 서비스도 점차 늘어가는 추세인 만큼 명의개서 통지 역시 시대적 방향에 맞춰 가도록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