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환율·유가 내려 수입물가 3개월째 하락

글로벌이코노믹

환율·유가 내려 수입물가 3개월째 하락

수입물가 1.9%·수출물가 1.2%↓…동반 하락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143.032(2020년 100·원화 기준)로 전월(143.04) 대비 1.9% 하락했다.이날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달걀을 고르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143.032(2020년 100·원화 기준)로 전월(143.04) 대비 1.9% 하락했다.이날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달걀을 고르고 있다. 사진=뉴시스
원·달러 환율이 소폭 내리고, 국제유가도 하향 안정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지난달 수입물가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140.32(2020년 100·원화 기준)로 전월(143.04) 대비 1.9% 하락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오르다가 올해 2월(-1.0%)과 3월(-0.4%), 4월까지 석 달 연속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도 2.3% 내려 지난해 10월(-2.5%) 이후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수입물가 하락은 환율과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이다. 4월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평균 67.74달러로 3월(72.49달러)보다 6.6% 내렸다. 원·달러 환율도 3월 평균 1456.95원에서 4월 1444.31원으로 0.9% 하락했다.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4.3% 하락했다. 중간재는 석탄 및 석유 제품, 1차 금속 제품 등이 내리며 전월 대비 1.3% 하락했다. 자본재는 전월 대비 0.3% 올랐고, 소비재는 0.4% 하락했다.

수입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만큼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하향 안정화 가능성이 커졌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초 3%대에서 점차 하락하기 시작해 하반기에는 9월(1.6%), 10월(1.3%), 11월(1.5%), 12월(1.9%) 4개월 연속 1%대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환율 급등과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이 물가 상승 압력을 자극하면서 1월(2.2%), 2월(2.0%), 3월(2.1%), 4월(2.1%) 4개월 연속 2%대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3월(135.11)보다 1.2% 내린 133.43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0.7% 올랐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