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경상자(상해 12~14급) 에 대한 지급액이 1조4100억 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중상자(1~11급) 몫은 2600억 원 수준이었다.
경상자 수는 149만 명으로 5년 전보다 4% 감소했지만 비용은 오히려 늘었다. 경상자 중 8%가 8주 이상 치료를 이어갔고, 20주 이상 장기 치료를 받은 경우 1인당 향후치료비는 198만 원에 달했다.
일반 치료비 역시 가파르게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치료비는 2조200억 원으로 2019년보다 4600억 원(+28%) 늘었고, 이 중 경상자 치료비가 1조 원에서 1조4000억 원으로 40% 급증했다. 같은 기간 중상자 치료비는 5천200억→5천700억 원(+9%) 증가에 그쳤다. 경상자 중심의 비용 팽창이 자동차보험 지출 구조를 흔들고 있다는 해석이다.
한편 정부는 경상자 8주 이상 장기 치료에 대한 향후치료비 지급을 강하게 제한하는 부정수급 개선 대책을 2월 내놨고, 6월 관련 법령을 입법예고했다. 다만 한의계·소비자단체는 “일괄 8주 제한은 의학적 근거가 약하고, 치료받을 권리를 침해한다”며 반발하고 있어 진통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