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챗GPT·넷플릭스 구독 열풍… 상반기 지식서비스 45.3억달러 적자

글로벌이코노믹

챗GPT·넷플릭스 구독 열풍… 상반기 지식서비스 45.3억달러 적자

작년 하반기보다 적자폭 7.7억달러 확대
오픈AI의 챗GPT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오픈AI의 챗GPT 로고. 사진=로이터
우리나라가 올해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 적자 규모가 1년 전보다 10억 달러 넘게 늘었다.

K-콘텐츠 열풍으로 수출이 늘었지만, 우리나라 국민이 챗GPT,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해외 앱 구독을 늘려 수입이 더 크게 불어난 영향이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수지(잠정)'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수지는 45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하반기(-37억6000만달러) 보다 적자 폭이 7억7000만달러 확대됐고 전년동기(-35억달러) 보다도 10억3000만달러 적자 폭이 커졌다.
수출은 197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183억2000만달러) 보다 13억9000만달러 늘었다. 다만 수입이 작년 상반기 218억20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242억5000만달러로 24억3000만달러 늘면서 증가 폭이 더 컸다.

지식서비스 수지 통계는 주로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생산되고 디지털 형태로 거래되는 서비스의 수출에서 수입을 뺀 것으로 크게 지식재산권 사용료, 정보·통신 서비스, 문화·여가 서비스, 전문·사업 서비스 4개 분야가 포함된다.

세부적으로는 △정보·통신(19억6000만달러)과 △문화·여가(4억4000만달러)서비스는 흑자였지만, △지식재산권 사용료(-24억5000만달러)와 △전문·사업서비스(-44억8000만달러)를 중심으로 적자 규모가 컸다.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은행


특히 지적사용료 적자 규모는 전분기 14조4000억원 적자에서 올해 상반기 24조5000억원 적자로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됐다. 이는 지적사용료 내 컴퓨터 및 모바일 소프트웨어 저작권 적자 규모가 생성형 AI 관련 구독 서비스 수요 증가 등으로 10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하반기(-6억1000만달러) 보다 적자 폭이 크게 확대된 탓이다.

산업별로 보면, 정보통신업에서 16억4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반면 제조업은 전기전자 제품을 중심으로 24억7000만달러 적자를, 디지털 중개 플랫폼도 22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박성곤 한은 경제통계1국 국제수지팀 팀장 "분기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한 정보통신 서비스 호조에도 제조업에서 R&D 산업재산권 이용이 확대되고, 개인들의 글로벌 앱스토어 구매와 OTT 구독이 늘면서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해외 R&D 관련 산업재산권과 연구개발 등 전문 사업 서비스 도입은 제조업 업황 개선에 따른 생산 및 투자 확대,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 불가결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글로벌 K-콘텐츠 열풍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콘텐츠산업 특수분류상 콘텐츠산업에 해당되는 거주자가 비거주자와거래한 지식서비스 무역을 집계한 특수분류 기준 콘테츠 수지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화체육관광부 특수분류 기준 콘텐츠산업별 지식서비스 무역수지는 25억1000만달러 흑자로 작년 하반기(+19억8000만달러) 보다 5억3000만달러 증가, 집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박성곤 한은 경제통계1국 국제수지팀 팀장은 "특수분류 기준 콘텐츠 수지는 올해 상반기가 사상 최대치”라면서 “콘텐츠 산업은 꾸준히 직전 반기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며 우상향 기조를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은행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