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정책연구원 실태조사 결과.."맞벌이 자녀 도우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17일 공개한 '100세 시대 대비 여성노인의 가족 돌봄과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작년 6-7월 손자녀를 돌보는 서울·수도권 거주 여성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이 돌보는 손자녀는 평균 1.34명으로 이중 영아 비율은 39%였다.
돌봄의 주된 이유(복수응답)는 '자녀의 직장 생활에 도움을 주려고'(78.3%)였으며 자녀의 양육비 부담을 줄여주려고(35%), 남에게 손자녀를 맡기는 것이 불안해서(32.7%)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가 경험하는 신체적·정신적 양육부담은 상당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절반 이상인 63.7%는 손자녀를 돌보기가 체력적으로 힘들다고 답했다. 마음의 여유가 없거나(55.3%) 살림을 도와주는 사람이 없어 힘들다(53%)는 답변도 많았다.
손자녀를 돌봐서 경제적 보상이 기대보다 못하다는 응답자는 30%였다.
그럼에도 자녀에게 도움을 줘 보람을 느끼고(84.7%) 손자녀가 커가는 모습을 매일 볼 수 있어 즐거움이 늘었다(83%)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만약 손자녀를 돌봐줄 다른 방법이 있다면 돌봄을 그만두겠다'고 응답한 노인은 전체 응답자의 67.3%였다.

이와 함께 배우자를 돌보는 여성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체로 노년기 배우자 돌봄을 자신의 몫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배우자를 돌보는 이유(복수응답)는 '자식에게 피해가지 않게 하려고'(48.7%), '배우자가 내가 돌봐주길 원해서'(42%), '내가 돌보는 것이 마음 편해서'(38.7%) 등의 답변 순이었다.
이들 대부분(82%)은 거의 매일 배우자를 돌보고 일주일 중 하루도 쉴 수 있는 날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돌봄 시간은 하루 평균 9.55시간으로, 주당 평균 65.03시간에 달했다.
노인의료비용 지원(92.3%), 간병인 비용 지원(90.3%) 등에 대한 욕구도 높았다.
최 연구위원은 "여성 노인이 노년기가 돼도 여전히 가족 돌봄 노동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도 사회적으로 이런 노동이 저평가돼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어 ▲가족 돌봄에 대한 사회적 보상체계 개발 등 가족 돌봄자를 위한 보편적 지원체계 구축 ▲육아휴직·유연근무제 활성화 등 일·가정 양립정책 내실화 ▲여성노인 지원 프로그램 확대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