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스팸전화 주의보...'010'도 위험해

글로벌이코노믹

스팸전화 주의보...'010'도 위험해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강준호 기자] KT CS가 스팸차단앱 후후의 1분기 스팸전화 통계수치를 공개했다. 통계분석 결과, 3월 한 달 동안 걸려온 보이스피싱 전화 건수가 지난 해 3월 대비 3배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스팸전화번호 유형은 ‘010’으로 시작하는 휴대전화가 34%로 가장 많았고 유선전화(28%), 인터넷전화(25%), 전국대표번호(8%)가 뒤를 이었다. 단일번호로는 ‘013-3366-56XX’가 가장 많이 신고된 ‘최고의 민폐번호’로 꼽혔으며, 이 번호의 스팸유형은 ‘스미싱’이었다.

후후에 등록된 1분기 스팸신고 건수는 총 706만883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3% 증가했다.

지난 3월 한달 동안 후후에 ‘보이스피싱’으로 1회 이상 신고된 전화발신건수는 7077만1539건으로 지난 해 3월 2395만1167건 대비 3배가 많았다. 10회 이상 신고된 전화는 총 3083만677건으로 전년 대비(1304만6394건) 2.4배가증가했다.
후후 이용자 공유정보 분석 결과, 보이스피싱 전화는 ‘대출사기’ 유형의 전화가 가장 많았다. ‘대출사기’는 신용등급이 낮고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마치 은행인 것처럼 전화를 걸어 저렴한 대출상품을 안내하듯 이용자를 현혹하여 수수료 등을 선입금 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스팸 신고된 전화번호 유형은 010으로 시작하는 휴대전화가 34%(237만3261건)로 가장 많았다. 02, 041 등의 유선전화는 28%(197만7940건), 070 인터넷전화는 25%(178만1320건), 1577 등 전국대표번호는 8%(56만9006건)를 차지했다.
강준호 기자 invinc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