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청년의 구직활동을 지원하는 청년수당의 2018년 1차 참여자 모집 결과, 총 9,158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보다 829명 증가한 인원으로, 상반기 선발 예정인 4,000명 보다 2.28배 많은 청년이 신청한 것이다. 작년 성공적인 정책추진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수요가 더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신청자가 제출한 활동계획서의 키워드를 분석해보면, 다양한 구직활동을 하기 위해 청년수당을 사용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자격증 취득(25.5%)과 어학시험(24.9%)이었으며, 그 외 스터디모임(12.8%) 등이 있었다. 또한, 신청자의 12.8%가 문화예술분야에서 전문적으로 활동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7%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겠다고 응답해, 정책 참여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청년들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자격확인과 가구소득, 미취업기간 등을 바탕으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한 후, 신청자의 활동계획 및 지원동기가 정책 목적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 최종 참여자를 선발했다.
참여자로 최종 선발된 청년은 7월부터 최소 2개월에서 최대 6개월까지 매월 50만원을 지급받게 되며,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의 심리정서지원, 직무교육, 커리어컨설팅 등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는 매월 활동결과보고서를 청년수당 홈페이지에 제출해야 한다.
서울시는 4월말 이후 2차 모집을 통해 3,000명 내외를 선발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1차와 2차를 합하면 작년 대비 2,000명 많은 7,000명이 올해 청년수당을 받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작년 청년수당 지급 경험을 통해 청년의 선택을 존중하고 지원하는 방식이 불안과 고립을 겪는 청년들에게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청년을 위한 이러한 사회안전망이 전국으로 확산되어 각자도생의 사회를 극복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현경 기자 k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