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고 7곳, 학부모 부담금은 평균 1357만원에 달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여영국 정의당 의원은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외고, 국제고 연간 학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여 의원에 따르면 학부모 부담금 중 수업료가 618만원으로 가장 높고,▲수익자 부담경비 416만2000원▲학교 운영지원비 67만6000원▲입학금 52만7000원 등이었다.
전국 12개 사립 외고 중에서 8개 학교가 연간 학비 1000만 원을 넘겼다. 공립 외고의 경우 학부모 부담금은 평균 496만 원으로 사립에 비해 절반 수준이었다.
문재인정부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와 외국어고 등 특목고의 일반고 전환을 검토 중이다.
내년에는 외국어고와 과학고, 체육고 등 특수목적고와 특성화중이 운영성과 평가를 받는다. 서울에서만 대원외고와 대일외고, 명덕외고, 서울외고, 이화외고, 한영외고 등 외국어고 6곳과 서울국제고 등 국제고 1곳, 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 등 과학고 2곳, 서울체육고 등 특목고 10곳이 재지정평가를 기다리고 있다. 대원국제중과 영훈국제중, 서울체육중 등 특성화중 3곳도 평가 대상이다.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내년에도 상당수 학교가 탈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교 체계 개편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여 의원은 "이들 학교는 경제력 없으면 머나먼 학교들로, 교육불평등을 강화하고 기득권을 대물림하는 통로"라며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아 공정하고 평등한 대한민국을 이루려면 자사고, 외고, 국제고 등 특권학교 정책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명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y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