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Military]한국을 겨냥한 북한의 미사일과 미사일 벨트

공유
0

[G-Military]한국을 겨냥한 북한의 미사일과 미사일 벨트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북한이 황해북도 곡산군 갈골에 탄도미사일을 운영하는 미사일 기지를 분석한 보고서를 공개했다.갈골기지는 북한이 운용하는 미사일 벨트 중 하나에 포함된다. 갈골 기지에는 한국 전역을 타격권으로 삼는 수백기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이동식 발사대 등을 배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유사시 한국공군의 최첨단 전투기인 F-35가 배치된 공군 기지 등에 탄도미사일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벨트. 사진=CSIS
북한의 탄도미사일 벨트. 사진=CSIS

북한은 비무장지대(DMZ) 인근 전방부터 후방지역에 이르기까지 3개 벨트(권역) 13개 기지에 중단거리 미사일과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등 탄도미사일을 배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벨트는 전술 벨트로 비무장지대(DMZ)에서 북쪽으로 50~90㎞ 떨어진 지역으로 스커드 여단이 자리를 잡고 있다. 2벨트는 작전벨트로 DMZ 북방 90~120㎞에 구축됐으며 노동미사일 여단이 맡고 있다. 제3벨트는 전략벨트로 평안북도 철산에서 함경남도 검덕산과 자강도 중강을 기준으로 한 후방지역이다. DMZ에서 175㎞ 북쪽에 있다.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와 조지프 버뮤데즈 CSIS 연구원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북한 전문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에 '미신고 북한:갈골 미사일 기지'라는 보고서에서 "비무장지대(DMZ)에서 북쪽으로 약 52km, 서울에서 북쪽으로 약 125km 떨어진 갈골 기지는 북한의 미신고 탄도미사일 시설 약 15~20개 중에서 최고로 개발된 곳 중 하나"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갈골 기지가 삭간몰, 금천리 기지 등과 함께 북한의 전방 또는 전술적 탄도미사일 벨트에 속하고, 신오리, 상남리, 유상리 등 전국에 광범위하게 퍼진 탄도미사일 네트워크의 일부라고 평가했다.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화성-6.사진=CSIS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화성-6.사진=CSIS

보고서는 갈골 기지는 사거리 300㎞의 화성-5(스커드 B), 사거리 500㎞의 화성-6(스커드 C) 단거리 탄도미사일, 또는 사거리 1000㎞의 화성-9(스커드 ER) 중거리 탄도미사일로 무장한 여단급 부대를 수용하는 기지로 평가했다.

화성-6은 전시에 한국 타격용으로, 화성-9는 주일 미군기지 등 일본을 타격하는 용도로 각각 활용되는 탄도미사일로 알려져 있다. 화성-6은 길이 10.94m, 지름 88cm 총중량 6.095t, 탄두중량 700~770kg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다. 탄두에는 화학탄과 생물학탄,자탄 등을 탑재한다.액체연료를 사용한다. 원형공산오차(CEP)는 1km로 추정된다. 1992년부터 작전배치된 미사일로 운영한 지 30년에 육박한다.

북한의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화성-9.사진=CSIS
북한의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화성-9.사진=CSIS
화성-9는 길이 13.5m,지름 88cm, 총중량 6.4t, 탄두중량 500kg인 준중거리미사일이다. 화학탄과 고폭탄, 자탄을 탑재한다. 1994년부터 배치했다. 서방 군사 당국은 이 미사일을 스커드 사거리연장형 서커드-ER이라고 부른다.CEP가 km에 이르러 정확도는 낮다.

북한은 15년 전인 지난 2006년 화성-5형과 6형, 9형을 합쳐 약 600발을 배치한 것으로 CSIS 산하 사이트인 미사일쓰렛은 평가했다.

갈골 기지는 또 미사일과 이동식 발사대(TEL 또는 MEL) 9~12개가 보관 가능한 지하시설 10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고서는 추정했다.

위성사진 분석 결과, 차량이동형 특수 건물은 이동식 발사대 위에서 화성-5나 화성-6을 세울 수 있을 정도로 아치형의 층고가 13~15m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보고서는 "지난 11일 촬영된 위성사진은 갈골 기지가 활성화되고 잘 관리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계속 개발되어 왔음을 보여준다"면서 "북한의 미사일 기지는 미국,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의 미군기지에 주는 명백한 위협에도 거 비핵화 관련 합의에서 신고, 검증, 폐기 대상이 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