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영계, "중대재해법 법안소위 통과 참담·좌절감"

글로벌이코노믹

경영계, "중대재해법 법안소위 통과 참담·좌절감"

이미지 확대보기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한 가운데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정치적 고려만을 우선시하고 그간 경영계가 요청한 핵심사항이 대부분 반영되지 않은 채 의결한 것 유감스럽다며 참담함과 좌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경총은 "중대재해법은 여전히 징역형의 하한이 설정돼 있고, 법인에 대한 벌칙 수준도 매우 과도하며, 선량한 관리자로서 의무를 다 한 경우에도 처벌에 대한 면책규정이 없는 등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최고의 처벌규정을 담았을 뿐 아니라 헌법과 형법상의 과잉금지원칙, 책임주의 원칙에도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경총은 "경영책임자와 원청에 현실적으로 지킬 수 없는 과도한 의무를 부과하고, 사고 발생 때 기계적으로 중한 형벌을 부여하는 법률 제정에 기업은 공포감과 두려움을 떨칠 수 없다"며 "지금은 예방활동을 더 강화할 수 있는 산업안전예방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 "중대재해법이 현행 최고 수준인 산안법에 더해 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특별제정법임에도 국회가 심도 있는 논의 없이 단기간에 입법하는 것 자체가 매우 불합리하다"며 "앞으로 추가적인 입법 절차를 중단하고 경영계 입장도 함께 반영된 합헌·합리적인 법안을 마련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대산업재해 정의를 '다수의 사망자가 반복해서 발생한 경우'로 수정 ▲경영책임자에 대한 하한설정의 징역형 규정 삭제 ▲경영책임자가 선량한 관리자로서 의무를 다 한 경우 또는 의무위반의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면책규정 마련 ▲법인에 대한 벌금수준 하향 및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 3배 이내로 제한 ▲중소기업에 대한 법시행 유예 시 원청의 책임규정 적용제외 필요 등 5개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