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필요한 경우만 입원 치료…생활지원금 지원 검토
18~49세 청장년층 추가접종 확대 실시…내달 2일부터 예약
국내 코로나19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사망자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 2차 개편을 유보하기로 결정했다.18~49세 청장년층 추가접종 확대 실시…내달 2일부터 예약
앞으로 4주간 현 수준을 유지하면서 특별방역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합동 브리핑에서 '단계적 일상회복의 지속을 위한 의료 및 방역 후속대응 계획'을 발표했다.

◇ 모든 확진자 재택치료 원칙…키트 제공, 생활지원금 지원 검토
정부는 의료기관을 연계해 확진자를 모니터링하고 산소포화도 측정기, 체온계, 해열제, 소독제 등 필요한 재택치료 키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 재택치료자 증가에 대비해 지역사회 의료기관 확대도 추진한다.
재택치료자에 대한 생활지원도 확대한다. 정부는 생활치료센터 입소 대비 재택치료 시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고려해 추가 생활지원금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재택치료 시 동거인 등 공동격리자의 격리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병원 진료, 폐기물 중간배출 등 필수사유에 대해 외출을 허용한다.
◇ 18~49세 추가접종 확대 실시…수도권 모임 제한 등은 추가 의견 수렴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추가접종(부스터샷)도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18~49세 청장년층에 대해서도 기본접종 완료 5개월(150일) 이후 추가접종을 실시한다. 내달 2일부터 사전예약을 받고 4일부터 접종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접종 완료자에 대한 방역패스 유효기간은 6개월(추가 접종 간격 5개월+유예 기간 1개월)로 설정했으며 이는 내달 20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밖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확산세 차단을 위해 사적 모임 인원을 제한하거나 식당·카페의 미접종자 모임 인원을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이것이 국민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민생 경제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고려해 향후 추가 의견을 수렴, 최종 시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하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a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