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호가 네모라면 아래 건반용이다. 오르간의 배음 드로바는 미리 배열하는 것이 순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당황하게 된다. 하몬드 오르간의 음전 조절(배열)은 숫자로 지시하는데 스피넷 형은 숫자를 정확히 맞출 필요는 없고 숫자 근처에만 위치시키면 된다.
음색군을 만드는 것이 드로바 숫자를 일일이 맞추는 것보다 더 간단한 것을 알 수 있다. 오르간 음악들은 비슷한 하몬드 오르간의 음전 조절을 인용하고 출판업자들은 인기 있는 피아노 음악도 오르간 음악으로 편곡해서 상업성을 높인다.
음전조절은 숫자들의 계열 형태로 쓰이는데 이것은 드로바의 순서다. 가령 첫 번째의 (5)는 아래 건반의 첫 번째 드로바를 (5)에 두라는 것이고 다음 번호는 두 번째, 세 번째 번호는 세 번째 바 등으로 이어진다.
하몬드 오르간의 특별한 매력은 연주 음악을 늘 흥미롭고 적당하게 만들 수 있는 수많은 음색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채롭고 미학적 구도로 형성된 음색은 오직 풀 오케스트라뿐인데 그것은 오케스트라는 여러 각도의 혼합된 악기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오케스트라는 아름다운 음악적 효과를 그룹에서 그룹, 목관악기에서 현악기로 다시 금관악기 등으로 선율을 예술적으로 배합하여 고도로 영향력 있는 작품을 만든다.
오케스트라가 여러 악기군으로 구성된 것처럼 오르간도 구분이 잘된 4개의 음색군으로 되어 있고 오르간만이 단일 악기 안에서 음색과 악센트를 지속해 교환하여 연주될 수 있는 유일한 악기가 되는 것이다.
오르간 스톱의 기본적인 군(group)은 2개의 범주, 솔로 리드(클라리넷)와 앙상블 리드(트럼펫)가 있고, 4개의 계층인 다이아패슨(diapason)-플루트(flute)-현(string)-리드(reeds)로 분류된다.
4개의 계층으로 된 음색들은 풀 오르간(Full organ)의 음색을 내기 위해 복합적인 배합을 한다. 플롯-현-리드는 오르간과 오케스트라 음정으로 분류되며 그것은 오케스트라의 리드-플루트-스트링 음색과 오르간의 리드-플롯-스트링의 음색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오르간 스트링과 오케스트라 스트링과는 명확한 구분이 있고 리드와 플롯도 마찬가지다. 하몬드 오르간은 오케스트라와 오르간 소리 모두를 연주할 수 있고 연주자는 변화 있는 음색과 급진전한 앙상블로 흥미를 갖게 된다.
오른손은 위 건반에서 악보의 최고 음부(소프라노)를 연주하고 화음에서 화음으로 넘어갈 때 유연해야 한다. 멜로디는 두드러지게 연주하며 옥타브나 옥타브 코러스가 겹치면 최고음이나 코드의 높은 부분을 연주하는데, 곡을 부드럽게 레가토로 연주하기 위해서이다.
오르간 음악은 리듬상 생기와 연음을 지니며 대중적 이미지를 위한 리듬 전환에서 융통성이 필요하다. 피노키오식 유동적 속도와 심한 반음계적 화성 진행에서의 호감은 명백한 회음을 지닌 잔향 때문이다. 커스틴 쉐리단 감독의 「어거스트 러쉬」(2007)가 실례이다.
정순영 음악평론가 겸 작곡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