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 4명 중 1명은 '혼자 사는 65세 이상 노인'

글로벌이코노믹

서울 4명 중 1명은 '혼자 사는 65세 이상 노인'

서울 65세 이상 인구 비율 18.1%…초고령사회 임박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휴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휴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인구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 고령자이며, 이들 가운데 4명 중 1명은 혼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서울시 고령자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전체 인구 963만879명 중 65세 이상은 174만3696명(18.1%)인 것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77만3032명, 여성은 97만664명이다.

이는 지난 2019년 서울의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14.8%)에서 불과 5년 만에 3.3%포인트(p) 증가한 것이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도시는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되는데, 서울은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에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송파구가 10만8894명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가장 많았고, 강서구 10만2096명, 노원구 9만6422명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자치구 인구 수 대비 고령 비율로 따져보면 강북구 23.4%, 도봉구 22.8%, 중랑구 20.4% 등 순이었다.

서울에서 혼자 지내는 '1인 가구' 고령 인구는 총 44만8251명(25.7%)으로 4명 중 1명꼴로 나타났다. 2019년(34만3567명)과 비교하면 5년 새 10만4684명(30.5%) 증가한 것이다.

혼자 사는 고령자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노원구(3만6839명)로 파악됐다. 이어 강서구(2만6046명), 송파구(2만5889명) 등의 순으로 많았다. 자치구 고령 인구 수 대비 독거노인 비율은 종로구가 38.9%로 가장 높았고, 노원구 38.2%, 중구 30.8%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는 고령인구와 독거노인의 가파른 증가에 대응해 각종 돌봄·의료·일자리 대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단기간 내에 '베이비부머 세대(1955~63년생)'가 대거 노년층으로 편입함에 따라 고령층 일자리를 늘려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이어가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