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보수·근로시간 등 여건 불만족 사유 가장 커
10명 중 3명은 월 200만~300만원 받아
10명 중 3명은 월 200만~300만원 받아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졸업 후 임금근로자로 첫 일자리를 구하기까지 전년 동월 대비 1.1개월 늘어난 평균 11.5개월이 걸렸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전체 취업자는 38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만3000명 감소했다. 이에 따라 고용률은 46.9%로 0.7%포인트(p) 하락했다.
이들이 첫 일자리를 얻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3개월 미만(47.7%)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3년 이상 걸리는 경우도 10명 중 1명꼴인 9.7%였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 과장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 바로 취업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 준비를 하다가 취업으로 나중에 넘어가는 모습이 보인다”고 말했다.
이들의 첫 직장을 산업군별로 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14.7%), 광·제조업(13.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9%) 순으로 높았다.
직업군별로는 관리자·전문가(25.9%), 서비스종사자(22.9%), 사무종사자(21.7%) 등 순이었다.
문제는 청년층이 이 같은 준비 기간을 거쳐 첫 직장에 입사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퇴사한다는 것이다.
이들의 첫 일터 평균 근속기간은 약 1년 7개월로 짧았다. 그 이유는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5.5%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계약 기간 만료 15.6%, 건강·육아·결혼 등 개인·가족적 이유 15.3% 등 순이었다.
첫 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은 200만~300만원 미만으로 받는 비율이 35.2%로 가장 높았다. 150만~200만원 미만(33.2%), 100만~150만원 미만(13%) 등이 뒤를 이었다. 300만원 이상 받는 비율은 5.1%에 그쳤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