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 경기도 남양주 왕숙지구에 6천억 규모 ‘AI 디지털 허브’ 조성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 경기도 남양주 왕숙지구에 6천억 규모 ‘AI 디지털 허브’ 조성

13일 김동연 경기지사와 카카오 관계자들이 AI 기반 디지털 허브 건립 투자 유치 업무협약식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13일 김동연 경기지사와 카카오 관계자들이 AI 기반 디지털 허브 건립 투자 유치 업무협약식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국내 대표 디지털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가 경기도 남양주 왕숙지구에 약 6천억 원을 투입해 ‘AI 기반 디지털 허브’를 조성한다.

도는 이번 투자를 통해 첨단산업 기반이 부족했던 경기북부 지역에 신성장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핵심 이정표로 삼겠다는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 날 경기도청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과 함께 ‘AI 기반 디지털 허브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카카오는 남양주 왕숙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3만4,000㎡ 규모 부지에 디지털 허브를 건립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약 6천억 원으로, 2026년 착공해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경기도와 남양주시는 부지 확보 및 인허가 등 행정 지원에 나서며, LH는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과 부지 공급을 담당한다.

김 지사는 협약식에서 “AI 기술은 미래 산업의 중심이며, 이번 카카오의 투자는 경기북부 AI문화산업벨트 조성의 마침표가 될 것”이라며 “도에서도 행정절차를 신속히 이행해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에 누구나 일상에서 AI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카카오의 목표”라며, “디지털 허브는 그 핵심 인프라로,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모델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수도권 규제와 역차별로 인해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어온 경기북부에 국내 대표 IT기업인 카카오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사례로, 도는 이번 유치를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첨단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카오는 단순한 데이터센터나 연구시설을 넘어, 디지털 허브를 지역 커뮤니티와 스타트업이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민 우선 채용, 소상공인 대상 디지털 전환 지원, 시민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 등도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디지털 허브가 들어설 남양주 왕숙 공공주택지구는 진접읍·진건읍·퇴계원읍 일대 약 1,029만㎡ 규모로 조성 중이며, 2028년 하반기 준공 예정이다. 도는 해당 지구 내 약 120만㎡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해 AI와 데이터 중심의 산업 인프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도는 이번 카카오 유치를 시작으로, 파주·의정부·남양주를 잇는 경기북부 AI문화산업벨트와 수원·성남·용인 등 남부 AI지식산업벨트 등 ‘5대 산업벨트’ 전략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