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까지 237억 8천만 원 집중 투입...美 하버드와 공동연구소 설립

이번 사업은 양자기술 분야의 국제 공동연구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술 안보 강화와 산업 고도화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프로젝트다.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국비 223억 8천만 원, 지방비 5억 원, 민간부담금 9억 원 등 총사업비 237억 8천만 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포항은 ‘글로벌 연구협력 허브’로서의 위상과 도시 전반의 산업 구조를 양자 기반으로 고도화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특히 포스텍은 하버드대학교와 협력해 ‘대규모 양자 얽힘 연구센터(가칭)’를 설립하고, 양자 얽힘 기반 원천기술 확보 및 양자컴퓨팅·양자센싱 분야의 선도 기술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국제 공동연구센터 설립 △크로스플랫폼 기반 양자 얽힘 생성 및 제어기술 등 핵심기술 공동 R&D △양자 전문가 교류와 글로벌 협력 플랫폼 운영 등이다.
이번 사업으로 포스텍과 글로벌 대학 간 정기 국제워크숍, 학술 교류, 공동 특허출원, 해외 석학 초청 및 대학원생 파견 등 활발한 협력이 이뤄질 예정이다.
포항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양자과학기술을 지역 산업 전반에 접목할 계획이다.
특히 양자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 △단백질 구조 분석 △배터리 소재 개발 △수소연료전지 기술 고도화 등 바이오·이차전지·수소 산업 등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계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은 기존의 바이오, 이차전지, 수소 산업 등 미래산업 기반에 더해 양자과학기술이라는 새로운 성장 축을 확보하게 됐다”며,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지역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이끌고, 대한민국의 양자기술 주도권 확보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최일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hoi365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