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전국 최초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통신’ 적용 착수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 전국 최초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통신’ 적용 착수

경기도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통신’ 적용 설명 그림. 자료=경기도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통신’ 적용 설명 그림. 자료=경기도
경기도가 이번 달부터 전국 최초로 실제 도로를 달리는 자율주행차에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적용하는 실증 사업에 착수한다고 1일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첨단 기술이 현실에서 시험되는 셈이다.

도는 지난 6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한 ‘2025년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공모에서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경기도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SK브로드밴드 등 민·관·연 협력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된다.

실증 대상은 판교 경기도자율주행센터(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소속된 자율주행버스 ‘판타G버스’로, 실제 도로 주행 환경에서 자율주행 차량과 관제센터 간 통신에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핵심 기술은 양자암호화의 근간인 양자키분배(QKD)와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보안모듈을 동시에 도입하는 것으로, 이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고도화된 보안 시도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컴퓨터조차 해킹이 어려운 차세대 보안 기술로,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 주고받는 자율주행 차량에 최적화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이번 실증사업은 AI와 양자기술의 융합이 실제 자율주행 서비스에 적용되는 국내 첫 사례로, 경기도의 연구 인프라와 기업 기술력이 결합한 선도적 성과”라며 “공공과 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경기도를 AI·양자기술 융합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사업은 서울-판교-대전을 잇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와도 연계된다. 이를 통해 도내 중소기업이 양자 기술을 직접 실증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된다.

도는 향후 스마트시티, 의료, 금융 등 보안이 중요한 다양한 분야로의 기술 확장을 도모하는 한편, 양자통신 관련 장비 제조사와 연구기관, 통신사 등과의 협업을 통해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새 정부가 공약한 인공지능(AI)·양자정보통신기술 등 신산업 집중 육성 기조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경기도는 정부의 양자기술 상용화 및 조기 확산을 견인할 대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