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역점 추진 중인 ‘경기동부 대개발’ 계획의 첫 가시적 성과로, 수도권 규제 완화를 통해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구상이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도는 1일 “여주 가남 일반산업단지 클러스터 조성안이 지난달 27일 국토교통부 장관 직속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며 “자연보전권역 내에 처음으로 대규모 산단이 들어서는 상징적 성과”라고 밝혔다.
여주를 포함한 경기 동부권 8개 시군은 지난 1983년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 이후 자연보전권역으로 묶여 개발이 제한돼 왔다. 이번 산단 조성은 40여 년간 유지된 수도권 규제의 빗장이 풀린 첫 사례로, 경기도는 이를 수도권 규제 합리화의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난개발 해소와 환경개선 효과도 강조했다. 현재 여주 등 동부권 내 공장의 92%가 개별 공장으로 난립한 상황에서, 체계적인 산업단지 조성은 단위면적당 오염 배출량을 줄이고 자연보전권역 내 환경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도는 여주 산단 클러스터를 시작으로 제2, 제3의 산업단지 조성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김 지사는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취지를 살리면서도 지역경제를 키울 수 있는 길을 정부와 협력해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