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H,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 나서

글로벌이코노믹

GH,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 나서

3일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우리은행,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와 함께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G.우.주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GH 이미지 확대보기
3일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우리은행,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와 함께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G.우.주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GH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우리은행,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와 함께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G.우.주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노후화된 보호시설의 전면 개선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이날 수원 GH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은 보호아동의 주거안정과 생활환경 개선이라는 공동 목표 아래 마련됐으며, ‘G.우.주 프로젝트(GH+우리은행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본격적인 착수를 알렸다.

이번 프로젝트는 경기도 내 아동그룹홈 73개소 가운데 25년 이상 된 노후 시설을 중심으로, 오는 2028년까지 매년 1억5,000만 원씩 총 6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내용이다. 올해는 이 중 가장 열악한 18개소를 우선 선정해 리모델링 등의 개선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동그룹홈은 가정 해체, 방임, 학대, 빈곤 등의 사유로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소규모 가정 형태의 양육과 보호를 제공하는 시설로, 경기도는 전국 그룹홈의 약 30%에 해당하는 160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800여 명의 보호아동이 생활하고 있다.
그룹홈협의회는 “월평균 47만 원 수준의 정부 지원으로는 시설 개선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번 협약은 그룹홈 현장에서 절실히 필요했던 지원으로, 아동의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GH는 이번 사업 외에도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임대주택 우선공급, 임대보증금 지원, 기부금 전달 등 다양한 주거복지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경기도·주거복지센터·아동그룹홈지원센터 등과 협업 체계를 구축해 주거 사각지대 해소에 힘써 왔다.

이종선 GH 사장 직무대행은 “아동그룹홈의 노후시설 개선은 미룰 수 없는 과제였다”며 “GH는 앞으로도 아동·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주거복지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GH는 향후 프로젝트 성과를 기반으로 민관 협력을 강화해 아동복지·주거정책 간 연계모델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