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50개교, 올해 초 527개교에 이어 이달부터 대폭 늘리기로

도교육청은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를 지난해 250개교, 올해 초 527개교에 이어 이달부터 564개 교로 확대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자율선택급식은 학생이 식단, 식사량 등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급식 방식으로, 건강한 식습관 형성과 주도적 참여,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는 경기도교육청의 대표 정책이다.
도교육청은 이번 확대가 단순한 행정적 결정이 아닌 “학교 현장의 자발적인 참여 의지와 학생·학부모의 높은 만족도를 바탕으로 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이 지난 4월 경기도 내 학생·교직원·학부모 등 1만 5,4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율선택급식은 △주요 정책 인지도(70%) △정책 필요성(74%) △미래 사회 대비 교육정책 선호도(18%) 항목에서 모두 상위권을 기록했다.
또 지난해 자율선택급식 운영학교 학생 1만 7,897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94.7%가 “적정 배식량 파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고, 92.6%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도움이 된다”, 89.1%는 “새로운 식재료나 음식을 접해볼 수 있었다”고 답해 정책 실효성을 입증했다.
이승준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보건과장은 “자율선택급식은 단순한 급식 개선이 아니라 학생의 삶과 교육을 연결하는 핵심 생활교육 정책”이라며 “교육공동체의 신뢰와 참여 속에서 자율성과 공동체성을 함께 키워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자율선택급식은 식단의 다양성과 균형 있는 영양 설계를 통해 편식 예방과 식생활 개선 효과도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학생의 식생활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학교 문화 조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정책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정책자문단·중앙전문지원단·현장소통단 등을 운영하며, 학교별 맞춤형 지원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급식 모델 개발과 교육연구회 지원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