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3일 성남 네이버 1784 본사에서 열린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기후행동 기회소득(기행기소) 실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번 협약은 경기도가 운영 중인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과 네이버의 ESG 프로그램을 연계해 도민의 친환경 활동을 사회공헌으로 확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양측은 종이 우편물을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로 대체하고, 전자문서를 활용한 도민에게 ‘기후행동 리워드’를 지급할 계획이다. 지급받은 리워드는 네이버 해피빈으로 전환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에 기부할 수 있도록 한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기후행동 기회소득’과 ‘기후도민총회’를 경기도 기후 대응의 대표 프로젝트로 꼽았다. 그는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협의체계를 통해 정책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기후도민총회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 △공영주차장 태양광 설치 △영농형 태양광 모델 구축 △철도 회생에너지 활용 △저탄소 수변공원화 등 총 749억 원을 투입해 19.8MW 규모의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도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세계 최초 로봇 친화형 빌딩인 네이버 1784 본사에서 진행됐다. 위원회는 기후·환경·에너지 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는 ‘경기기후플랫폼’, 극한호우·산사태·폭염 등 기후재난 대응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RE100, 기후펀드, 기후위성, 기후보험 등 대한민국 최초의 다양한 기후 대응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며 “도민, 기업, 전문가가 함께하는 정책 혁신을 통해 국가 에너지 대전환의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