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형 SMR, OECD 원자력기구 평가서 긍정적 평가

글로벌이코노믹

한국형 SMR, OECD 원자력기구 평가서 긍정적 평가

황정아 의원(더불어 민주당 대전 유성을)  이미지 확대보기
황정아 의원(더불어 민주당 대전 유성을)
한국이 개발 중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와 한국형 소형원자로 ‘스마트100’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 평가에서 세계 소형모듈원자로(SMR) 노형 가운데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을)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NEA는 최근 보고서에서 i-SMR에 22점, 스마트100에 19점을 부여했다. 이는 전체 평균 점수인 17.38점을 웃도는 수준이다.

NEA는 전 세계 18개국에서 개발 중인 74개 SMR 노형을 인허가, 부지, 금융조달, 공급망, 참여도, 핵연료 등 6개 항목별로 평가했다. 그 결과 i-SMR은 전체 10위, 스마트100은 13위를 기록했다. 현재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인 원전 7기를 제외하면 사실상 높은 수준의 평가라는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노형은 인허가와 부지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 항목에서 비교적 우수한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 세계 SMR 개발 상황도 전반적으로 진전돼, 직전 보고서 대비 평균 점수가 1.94점 상승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SMR이 2050년까지 1천기 이상 도입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누적 투자 규모는 6천700억 달러(약 933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한국이 원전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SMR 시장 진출 기회를 넓힐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도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과의 회동에서 “한국은 SMR의 강자가 될 수 있다”며 관련 기술과 기업 경쟁력을 강조한 바 있다.

황정아 의원은 “SMR은 AI 시대 전력 수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에 필수적인 차세대 에너지 기술”이라며 “국회에서 SMR 특별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체계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