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정복 인천시장, i-바다패스로 관광·지역경제 "두 토끼 잡는다"

글로벌이코노믹

유정복 인천시장, i-바다패스로 관광·지역경제 "두 토끼 잡는다"

누적이용 56만 9943건, 지난해보다 33% 증가
바다 위 대중교통, 인천 '섬 관광' 미래 견인차로
지난 달 9일 유정복 시장(가운데)이 옹진군 연평면 구리동해수욕장을 방문해 안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인천시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달 9일 유정복 시장(가운데)이 옹진군 연평면 구리동해수욕장을 방문해 안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인천시
인천시 i-바다패스가 ‘바다 위 대중교통’이라는 별칭처럼 시민과 관광객 모두의 일상을 바꾸고 있다. 단순히 교통비를 아껴주는 정책이 아니라 관광 수요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내며 순항 중이다.

22일 인천시에 따르면 전국에서 최초로 도입한 i-바다패스는 올해 8월까지 누적 이용 건수 56만 9943건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다. 특히 지난 7월 성장률은 83%에 달해 도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천 시민뿐 아니라 외부 관광객 이용이 52% 급증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교통비 절감이 곧 섬 관광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촉매제가 됐다는 분석이다. 이용객 증가의 효과는 곧바로 지역경제에 반영됐다. 인천시는 올해 섬 지역 관광 매출을 213억 원으로 추산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6억 원 증가한 수치다.

교통비 절감분이 숙박·먹거리·체험으로 이어지며 체류형 소비를 확산시키고 있다. 실제 백령도를 찾은 한 가족은 “교통비를 아낀 덕분에 현지에서 더 풍성한 여행을 즐길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는 관광이 인구감소로 인한 소비 위축을 보완할 수 있다는 시너지란 점이다.
한국관광공사의 연구 결과를 현실에서 증명해낸 사례로 i-바다패스는 올해 인천시 10대 주요정책 시민만족도 조사 1위에 올랐다. 더 나아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5 한국관광의 별 혁신관광정책 부문 후보에도 올랐다. 이는 단순한 교통 정책이 아닌 전국적 관광 혁신 모델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

이와관련, 관광학계에서는 이를 “교통과 관광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공공정책 성공 사례”로 평가한다. 도시와 섬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섬 관광의 체계적 성장을 견인한다는 것이다.인천시는 관광객 증가세를 뒷받침하기 위해 계절별로 다양한 축제를 마련했다.

축제를 살펴보면 “소야도 ‘스포티 캠핑 나이트’(9월 28~29일) ; 인기 BJ와 함께하는 스포츠 중계와 바비큐 파티, 백령 최강마라톤(10월 19일) : 사곶해변과 백령호를 달리는 20km 마라톤과 자월도 붉은 달 페스티벌(10월 27~28일) : 소리 산책·요가·음악공연 등 힐링형 문화축제다.

인천 연안 여객선 이용객들이 승선하고 있다.  사진=인천시이미지 확대보기
인천 연안 여객선 이용객들이 승선하고 있다. 사진=인천시


또한 ‘인천 섬 도도하게 살아보기’ 프로그램은 강화·옹진 15개 섬에서 숙박형 체험을 제공, 단순 관광을 넘어 삶을 체험하는 여행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관광 문화를 이끄는 보석 같은 섬들이 즐비한 인천만의 특색 결과로 반영되고 있다. 진행형 콘텐츠 개발은 눈길을 사로잡는다.

유정복 시장은 “i-바다패스는 섬을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문을 열었고, 교통비 절감이 지역경제의 새로운 활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늘어난 관광객으로 인한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인천만의 특화 콘텐츠를 지속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시는 섬 주민들의 생활 불편을 줄이기 위해 예비선을 투입해 증회 운항을 실시하고 있으며, 불법 해루질·임산물 채취 단속, 해변정화 활동 등 지속 가능한 관광 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관광객 등에게 비추어지는 호감도는 으뜸이란 사실이다.

한편, i-바다패스는 단순한 교통 할인권이 아니라 ‘관광·경제·복지’ 3박자를 아우르는 종합 정책이다. '교통비 절감 → 관광 수요 창출 → 지역경제 활성화 → 정책 위상 강화'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냈다. 이 모델을 더욱 발전시킨다면, “섬 관광은 단순한 여가가 아닌 대한민국 해양시대의 성장 엔진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긍정적 분석이 많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