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정자원관리원 화재, 서버 DR만 구축
클라우드 DR 지연이 직격탄
클라우드 DR 지연이 직격탄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사실상 마비되면서, 클라우드 이중화 부재라는 구조적 한계가 다시 한번 드러났다. 3년 전 카카오 먹통 사태 당시 판교 데이터센터의 이중화 실패가 대규모 장애로 이어졌던 상황이 이번에는 '행정부 버전'으로 재현된 셈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화재가 난 전산실은 국정자원이 자체 운영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G-클라우드 존'으로, 서버 재난복구(DR) 환경은 갖췄으나 클라우드 DR은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
대규모 클라우드 운영체계는 동일한 환경을 갖춘 '쌍둥이' 시스템을 다른 지역에 마련해 재난 상황에서도 업무가 이어지도록 해야 하지만, 이번에는 서버 DR로만 절반 수준의 안전망이 작동한 것이다. 이 때문에 화재와 동시에 정부 전산시스템이 속수무책으로 멈춰섰다.
카카오는 2022년 먹통 사태 이후 데이터센터 3개를 연동하는 삼중화 계획을 발표했으나,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공주 센터 간 이중화 작업이 예산 문제 등으로 지연돼 왔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데이터의 심장에 해당하는 시설이 여전히 단일 거점에 의존하고 있었다는 점이 문제"라며 "AI 시대에 데이터센터는 국가 정보의 혈관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전면적인 보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대전 본원은 2005년 설립돼 20년 가까이 운영되며 노후화 문제도 겹쳤다. 국정자원은 올해 초 클라우드 DR 구축과 5년 내 이전 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상세 컨설팅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정부 클라우드를 민간으로 넘기는 것이 타당한지 논란도 적지 않아 속도가 더뎠다. 이번 사태는 제도적·예산적 지연 속에 취약한 인프라가 고스란히 노출된 사례라는 평가가 나온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