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3 인천 짜장면 축제’, 시민의 열기로 가득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K-푸드 모델로 자리매김
유정복 시장 시민과 스킨쉽 자장면 봉사로 함께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K-푸드 모델로 자리매김
유정복 시장 시민과 스킨쉽 자장면 봉사로 함께
이미지 확대보기인천광역시는지난 1일부터 2일까지 인천 차이나타운과 개항장, 상상플랫폼 일원에서 열린 ‘1883 인천 짜장면 축제’가 시민과 관광객들의 참여로 성황리 막을 내렸다고 3일 전했다.
이번 축제는 단순한 음식 행사를 넘어,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생활형 축제’의 본보기로 평가받았다. 유정복 시장도 참석해 자장면 봉사로 시민들과 함께 즐겼다.
행사장 입구부터 남달랐다. 기존의 현수막 아치 대신 설치된 6개의 큐브형 조형물은 입구이자 전시, 포토존, 이벤트 공간으로 활용되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축제 전부터 진행된 사전 프로그램도 주목받았다. 인스타그램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시민 사연전 ‘나만의 짜장면 이야기’는 개항장 아카이브관에 전시돼 세대를 초월한 추억을 공유했다.
이와함께 “어릴 적 아버지가 월급날 사주던 짜장면이 아직도 기억난다”는 관람객의 글 앞에는 많은 시민들이 발걸음을 멈췄다. 버스킹 공연과 시민 가요제 역시 관객이 아닌 주체가 됐다.
시민이 주인공이 된 진짜 축제라고 호평을 받았는데 “상상플랫폼 실내에 마련된 어린이 체험존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특히 ‘짜장면 쿠킹 클래스’, ‘미니게임 존’, ‘촉감놀이’, ‘버블·마술 공연’ 등 다채로운 체험이 운영되며 아이들과 부모 모두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또한, 상상플랫폼을 방문한 한 시민은 “짜장면 축제에서 독서와 공연까지 함께 즐길 수 있을 줄 몰랐다”며 “도시축제의 품격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이번 축제의 백미는 단연 시식 행사였다. 1883년 인천 개항기 시절의 짜장면을 복원한 ‘1883 인천 짜장면’과, 청년 셰프들이 인천의 특산물을 활용해 새롭게 개발한 ‘특산면 5종’이다.
이번 행사에서 시민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꽃게, 고구마, 새우, 미역, 젓갈 등 인천의 지역 재료가 어우러진 메뉴들은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꽃게 짜장면과 고구마 짜장면이 인기를 독차지했으며, 행사장에서는 “이게 진짜 인천 맛”이라는 감탄이 이어졌다.
1883 짜장면은 일반 춘장을 쓰지 않아 다소 짭조름하다는 평도 있었지만, “그 시대의 원형을 그대로 재현했다”라고 의미를 더해 즐거움을 더했다.
차이나타운 일대에는 포토존과 거리 공연이 곳곳에서 펼쳐져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인근 중식당들은 축제 기간 매출이 평소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고 전하고 있다.
한편 ‘짜장면의 도시 인천’이 지역경제에 실질적 활력을 불어넣은 사례로 꼽혔다. 축제 대행사가 행사 운영을 위해 구입한 중식 화구 세트를 인천중국음식업협회에 기부하기도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행사에서 자장면은 인천의 역사다. 상상플렛폼에서 1회를 맞이하게 됐다. 이는 인천을 문화의 축제장으로 더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인천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개항장 일대 개발 등 준비를 마쳤다. 시민에게 개방된 이 장소는 자장면 축제와 함께 더 번영을 꿈꾸는 도시로 거듭나게 될 것이란 메시지를 전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첫 개최라 부족한 점도 있었다. 시민들의 참여와 열정 덕분에 성공적인 첫걸음을 뗐다”며 “한국식 짜장면이 인천에서 탄생했다”라고 밝혔다.
전문가들 또한 이번 행사가 단순한 음식 축제를 넘어, 인천 개항의 역사·문화·산업을 연결하는 K-푸드 브랜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날 시민의 추억과 맛, 그리고 지역경제가 어우러진 ‘1883 인천 짜장면 축제’는 이제 막 첫 페이지를 넘겼다. 짜장면이 다시 인천의 미래를 요리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김양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pffhgla111@g-enews.com













![[뉴욕증시] 3대 지수↓, ’월가 공포지수’ 폭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806424407854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