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유정복 인천시장, ‘선교의 길’ 복원 기독교 인사들 제안 화답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유정복 인천시장, ‘선교의 길’ 복원 기독교 인사들 제안 화답

지역 정체성 되살리는 신앙과 문명의 길은 추구할 역사
도시 외교와 문화 브랜드 행정으로 맞손을 잡은 잰걸음
지난 3일 유정복 인천시장(가운데 왼쪽)이 시청 본관 2층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선교의 길(성지순례길)’ 제안서 전달식에서 이종복 아펜젤러·언더우드역사문화기념사업회 대표회장(가운데 오른쪽)으로부터 제안서를 전달받은 뒤 기독교계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시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3일 유정복 인천시장(가운데 왼쪽)이 시청 본관 2층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선교의 길(성지순례길)’ 제안서 전달식에서 이종복 아펜젤러·언더우드역사문화기념사업회 대표회장(가운데 오른쪽)으로부터 제안서를 전달받은 뒤 기독교계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시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침, 제물포항에 두 명의 서양 선교사가 내렸다. 헨리 아펜젤러와 호러스 언더우드. 그들이 밟은 땅은 낯설고 두려운 조선이었지만, 그들의 발걸음은 하나님을 의지하며 내디딘 믿음의 길이었다. 그리고 그 길은 인천이 문명의 시작이자 신앙의 출발점이 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는 역사로 남았다.

140년이 지난 오늘, 그 길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인천이 ‘선교의 길(성지순례길)’ 복원에 나서겠다는 제안을 공식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한 것이다. 인천은 한국 근대의 첫 항구이자 문명이 열린 창이다. 서양 선교사들이 제물포를 통해 들어오며 조선의 근대화는 시작됐다.

그 후 학교가 세워졌고, 병원이 생겼으며, 인권과 자각의 불씨가 피어났다. 그 모든 출발점이 바로 인천이었기에 한 알의 밀알이 된 ‘선교의 길’은 단지 종교적 순례의 길을 넘어 근대 교육, 의료, 인권, 언론의 뿌리가 서린 ‘문명사적 통로’가 됐다.

따라서 이번 복원 제안은 종교계의 기념행사 차원을 넘어 인천의 정체성과 근대정신을 복원하는 시민적 과제이자 역사문화 프로젝트다. 그 길을 함께 가자는 제안을 유정복 시장이 수렴하면서, 인천만의 정체성은 지금 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주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제안의 주역들은 3일 인천시청 본관 2층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선교의 길(성지순례길)’ 제안서 전달식에서 뜻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이종복 아펜젤러·언더우드역사문화기념사업회 대표회장은 유정복 시장에게 제안서를 전달하며 기독교계 대표들의 의지를 전했다.

이날 유정복 인천시장은 “세계 문화유산의 관문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며 “단순한 행정적 검토가 아니라 도시 외교와 문화 브랜드를 새롭게 여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어 “응원하는 ‘선교의 길’은 신앙의 재현이자 세계와 다시 연결되는 평화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140년 전 ‘세계와 문명의 첫 만남’은 오늘의 인천이 다시 이어가는 문명 리셋의 제안이었다. 종교를 넘어 문화·역사·교육이 어우러진 ‘세계시민의 길’로 다듬을 때, 인천은 서울의 그늘이 아니라 세계가 기억하는 항구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확신이 더해졌다.

내년 4월 5일 ‘선교의 날(가칭 성지순례의 날)’ 행사가 시민과 청소년이 함께 참여하는 역사문화행사로 열린다면, 그날 인천은 신앙의 도시를 넘어 기억과 문화의 도시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천만 인천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역사도시로 자리매김하는 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복 시장이 말했듯 “인천은 과거와 미래, 신앙과 문화, 그리고 인류가 함께 걷는 길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이제 남은 것은 그 길을 누가, 어떤 마음으로 함께 걸을 것인가이다. 그 대답이 인천의 품격이자 대한민국 문화외교의 미래”라고 밝혔다.
140년 전, 인천은 세계와 처음 손을 맞잡았다. 그리고 이제 인천은 세계를 향해 다시 손을 내밀고 있다. ‘선교의 길’ 복원은 신앙의 회복이자, 인류가 함께 걷는 길의 재탄생으로서 기독교계 인사들과 유정복 시장의 만남은 한국 기독교의 새로운 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양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pffhgla11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