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하는 포인트로서는, '기업 입지의 관점에서 국제 표준에 접근했다'(금융), '국내 제조 기반을 지키고, 고용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사업 환경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자동차)고 하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소비세율 10%로의 인상이 연기된 것과 관련하여, 법인세율을 인하했을 경우의 재원 조달과 재정 건전화의 지체를 우려하는 의견도 눈에 띄었다.
인하 실시 시기에 대해서 '이른 편이 바람직하지만, 재원 확보를 생각하면 소비세율 재인상에 맞추는 것이 좋지 않을까?'(에너지)하는 제안도 있었다.
일본의 현행 법인세의 실효세율은 35% 정도인데, 1%를 인하하게 되면, 4700억 엔의 세수가 감소하게 된다. 재정 적자문제가 심각한 일본 정부로서는 법인세율 인하에 따른 부족 재원 충당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고, 기업들은 법인세 인하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어, 앞으로 일본 정부와 여당이 어느 정도까지 기업의 기대에 호응할 수 있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글로벌이코노믹 장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