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 브로드 연구소(Broad Institute)와 하버드 대학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프라임 편집(prime editing)’이라는 이 새로운 기술은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프라임 편집은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유전자가위로 불리는 강력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에 기반하고 있지만 보다 정밀하고 다재다능하여 “특정 DNA 부위에서 새로운 유전 정보를 직접 기록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주장했다.
질병과 관련된 사람의 유전체 변이의 약 3분의 2는 단일 돌연변이에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유전자 편집을 이용해 이들 돌연변이를 수정하거나 재생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을 통하여 연구자들은 파괴적 훼손이나 공여 DNA 없이도 DNA 가닥의 전체 부위를 찾고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연구자들은 이 기술 덕분에 유전적 변이가 원인으로 알려진 질병의 약 89%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교정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논문의 저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리우(David Liu)는 “프라임 편집 덕분에 우리는 DNA를 전부 잘라내거나 DNA 주형 없이도 겸상적혈구빈혈증 돌연변이를 정상 배열로 교정할 수 있었으며 테이 삭스병(Tay Sachs)을 유발시키는 여분의 DNA 염기 4개를 제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공동 저자인 앤드류 안잘론(Andrew Anzalone)도 “우리의 기술 개발에서 프라임 편집의 다재다능성이 빠르게 확인되었다. 새로운 유전 정보를 표적 부위에 직접 복사한다는 사실은 엄청난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근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hgkim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