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C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계획은 미국 주식시장을 이미 끌어올렸지만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더 많은 경제 성장, 더 높은 금리, 더 많은 주가 상승이 이뤄질 수 있고 미 진행 중인 순환주로의 로테이션을 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새 대통령의 의제가 얼마나 빨리 승인되고, 백신 접종이 가속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얼마나 빨리 억제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과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정부는 이미 1조9천억 달러의 부양책을 공개했고 정책 효과는 이미 주가 상승으로 나타났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수석 미국 주식 전략가는 "정치 환경이 급격하게 달라졌고, 이제 3개월밖에 안 됐다"며 "일종의 드럼 비트였고, 되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수한 보건 위기 상황에서 워싱턴의 정치적 변화가 더 이어질 것이어서 정책적 대응이 엄청날 것"이라면서 "성장에 모두 좋지만, 금리는 비선형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웰스파고 인베스트먼트 인스티튜트는 공화당이 상원을 장악했을 때보다 훨씬 더 큰 재정 지출이 예상된다며 전날 성장과 금리 주가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웰스파고의 스콧 워렌 전략가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예상치로 4.7%를 제시했다. 이전에는 3.8%였다. S&P 500의 중간 목표치는 이전 3,900에서 4,100으로 상향 조정했고, 연말까지 10년물 국채수익률 범위는 기존 1~1.5%에서 1.25~1.75%로 상향 조정했다.
그는 "경제 수치가 예상보다 잘 나오고 있으며 계속해서 더 좋은 결과가 들어오고 있다"면서 "백신 운송과 소식도 더 좋고, 캘리포니아와 뉴욕과 같은 주에서 봉쇄가 끝없이 계속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QMA의 에드 쿤 수석 투자 전략가는 "백신 접종이 더디긴 하지만 시작됐다"면서 "시장이 바이러스를 지났음을 시사하는 큰 폭의 상승세지만, 경기 회복의 정도는 아직 확실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하반기에는 모두가 반등을 기대하고 있는데, 문제는 얼마나 강할지 여부"라면서 "지난 부양책보다 훨씬 더 큰 부양책이 나온다면 반등은 정말로 예상보다 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의 부양책과 함께 오는 위험으로는 인플레이션이 회복되는 경제에서 수요가 증가하거나 달러와 부채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많은 경제학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이 올해 일시적으로 일시적으로 발생해도 이 시점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또 다른 우려는 바이든 행정부가 세금을 인상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현재 21%에 달하는 법인세율은 바이든의 제안에 따라 28%까지 높아질 수 있지만 전략가들은 이를 25%로 예상하고 있다.
김수아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suakimm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