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부양책 없으면 수년간 실업률 높아진 상태 지속 지적…"구제법안 위험보다 이득 크다"

이날 CNN과 CNBC 등 외신들에 따르면 옐런 재무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대책안이 의회를 통과해 성립하면 미국 경제가 2022년 완전고용 상태로 복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완전고용이란 인플레이션 압력없이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실업률을 의미하는 데 미국에서는 그동안 실업률이 3%대이거나 4% 초반일 때 완전고용 상태라는 말이 나왔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인 지난해 2월 미국의 실업률은 3.5%였고 3월에도 4.4%였으나 이후 10%를 웃돌았다가 하락해 지난달 미국 실업률은 6.3%였다.

그는 "우리가 길고 느린 경기회복을 겪어야 할 필요가 절대적으로 없다"면서 "경제 패키지가 가결되면 내년에는 완전고용을 되찾는다고 기대한다"고 낙관했다.
옐런 재무장관은 의회예산국의 최신 분석보고서를 인용해 “미국 실업률이 추가 부양이 없을 경우 앞으로 수년간 높은 실업률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실업률이 4%까지 낮아지려면 2025년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옐런 장관은 바이든표 구제법안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것이라는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의 비판에 대해서는 “그것은 우리가 고려해야 할 위험"이라면서도 자신은 인플레이션을 오래 연구해 왔고 만일 그런 위험이 현실화된다면 국가는 이미 대처할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 구제법안의 이득이 위험보다 더 크다"면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경제적 도전과 엄청난 고통, 그것이 가장 큰 위험"이라고 덧붙였다.
옐런 장관은 또한 중산층 가정이 도움받을 자격이 있다며 현금지급 대상을 축소하는 데에 자신과 바이든 모두 반대한다고 답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구제법안 규모에 대해 공화당은 부채 증가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으며, 특히 연간소득 7만5000달러(부부 기준 15만달러) 이하인 국민에게 1인당 현금 1400달러를 추가 지급한다는 내용이 미국 현지에선 쟁점으로 부상한 상태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