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은 2027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15개의 새로운 매장, 유럽과 중동에 5개의 매장, 그리고 미국과 캐나다에 4개의 추가 매장을 여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고 야후 파이낸스가 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아이폰 제조회사는 또 아시아에서 6개의 리뉴얼되거나 이전된 매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9개, 북미에서 13개의 매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회사는 향후 4년간 총 53개의 신규, 이전 또는 리모델링 매장을 계획하고 있다.
애플은 세계에서 가장 충성도 높은 기업 가운데 하나이지만 최근 몇 년간 전염병 문제, 고객 서비스 문제 및 노동 불안과 싸우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애플은 인도와 같은 성장 시장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동시에 미국과 유럽의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 같은 계획을 수립했다.
논의 중이거나 개발 중인 가장 주목할 만한 새로운 매장은 인도의 세 곳, 말레이시아의 첫 번째 전초기지, 파리의 오페라 쇼핑 지역에 있는 애플의 역사적인 위치로의 업그레이드를 포함된다.
또한 새로운 지역 본사가 런던에 있는 배터시 발전소에 곧 매장을 열 예정이며 마이애미에 추가 입지를 계획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이의 징안 사원 광장에 플래그십 스토어가 예정되어 있다.
미래의 장소 중 일부와 그 시기는 내부 예상 또는 제안으로 남아 있으며, 이는 지연되거나 완전히 취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많은 상점들은 이미 개발 중에 있으며, 애플은 토지 소유자들과의 임대에 동의한 상태다.
애플은 현재 26개국에 52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 정도가 미국에 있다. 이 체인점은 평방피트 단위 수익성이 좋기로 유명하지만, 상점들은 종종 상품을 팔기보다는 애플의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에 더 가까운 것도 사실이다.
애플은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포함한 다른 채널에서 수익의 대부분을 얻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매장은 고객들이 제품을 사고 기술 지원을 받고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핵심 장소다.
이 회사의 소매 운영은 2019년 버버리 그룹의 베테랑 안젤라 아렌츠가 사임했을 때 업무를 인계받은 애플의 가장 오래 재직한 임원 중 한 명인 디에리 오브라이언이 감독하고 있다. 매장 건설 및 유지보수는 애플의 글로벌 부동산 및 시설 담당 임원인 크리스티나 라스페가 관리한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