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상하이 푸둥신구에서 상하이둥잉부동산이 건설하는 2개동 300가구 규모 '원 리베라 상하이' 아파트의 완공이 2년 가까이 지연되면서 수분양자들이 모기지 보이콧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제곱미터(㎡)당 11만 위안(약 2000만원)인 '원 리베라 상하이'는 1500만∼3000만 위안(약 28억∼56억원)에 분양됐다. 해당 아파트 2개동 중 하나의 입주 예정일은 지난해 3월 12일, 다른 하나는 지난해 12월 10일이었다.
그러나 상하이둥잉이 지난해 초 자금난에 빠지면서 공사는 1년 반 넘게 중단됐다.
이에 지난 8월 초 수분양자 수십명이 상하이둥잉과 현지 당국에 그달 말까지 공사 재개가 이뤄지지 않으면 9월부터 모기지 상환을 중단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하지만 8월 31일 이래 해당 아파트 건설 현장에는 소수의 노동자만 작업을 하고 있으며 완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SCMP는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일부 수분양자들은 최근 공사 재개도 외부의 우려를 달래기 위한 임시방편적인 무성의한 조치라며 모기지 상환 보이콧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상하이의 부동산 투자업체 관계자는 "고가 아파트의 입주가 500일 이상 지연되면서 이미 구매자들을 불만이 터져나오는 만큼 모기지 보이콧 발생 가능성이 높다"면서 "상하이둥잉이 유동성 위기에 빠진 탓에 최악의 결과로 치닫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원 리베라 상하이' 사태가 침체한 부동산 시장의 심리를 더욱 악화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중국 당국이 2020년 부동산 시장 투기를 잡겠다며 돈줄 죄기에 나선 가운데 코로나19가 겹치면서 현지 부동산 개발업체 수십곳이 자금난에 빠졌다.
중국 정부의 대출 규제로 자금난에 빠진 부동산 업체들이 공사를 중단하면서 지난해 중국 전역 100여개 도시에서는 짓다 만 아파트가 속출했다. 새 집을 인도받지 못한 수분양자 사이에서는 모기지 상환 거부 운동이 퍼져나갔다.
이에 따라 모기지 보이콧이 확산되면 부동산 위기가 금융 위기로 번져 천문학적인 손실이 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앞서 JP모건은 지난해 12월 보고서에서 지난 2년간 약 50여개의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가 약 1000억달러(약 136조원) 상당의 역외 채권을 채무불이행(디폴트)했다고 밝혔다.
이 중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중 가장 먼저 2021년 12월 디폴트를 선언했던 헝다(恒大·에버그란데)는 그간 부채 구조조정 작업을 벌였으나 지난달 그룹의 창업자 쉬자인 회장에 이어 자금 관리 총책이었던 그의 둘째 아들 쉬텅허가도 당국에 연행되면서 파산설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