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행은 이번 전망 조정 이유로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을 꼽았다. 또한, 임금 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점도 물가 상승률 전망을 상향 조정한 요인으로 꼽았다.
일본은행은 이번 전망 보고서에서 "임금 상승이 지속되어 물가와 임금의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일본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7월 보고서에서 정책위원들의 전망치 중앙값은 2023년 2.5%, 2024년 1.9%, 2025년 1.6%였다. 실적이 3.0%였던 2022년도부터 3년 연속 3% 안팎의 물가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은행은 보고서에서 "(기조적 물가상승률은) 전망의 후반부로 갈수록 '물가안정 목표’를 향해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4년도는 0.9포인트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전망 보고서에서는 "최근 유가 상승의 영향과 경기부양책에 의한 인하 반동 등으로 인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0.3%포인트 올린 2023년도는 물가 전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주된 이유다. 임금과 관련해서는 2023년 춘계 노사교섭에서 높은 수준의 임금인상률을 기록한 것을 계기로 "기업의 임금 및 가격결정 행동의 일부에서 기존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임금 상승을 동반하는 형태로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물가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리스크 요인으로는 해외의 통화긴축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을 염두에 둔 해외 경제의 하방 리스크 등을 지적했다.
일본은행은 이번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단기 금리 조작(수익률 곡선 조절) 운용을 재검토해 사실상 상한선인 1%를 초과하는 금리 상승을 어느 정도 허용할 방침을 정했다. 앞으로도 물가 상승의 지속성, 임금 상승 추세 등을 파악해 추가 정책 수정 시기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