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정상회담 후 포드 CATL 합작 배터리 공장 재개하기로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정상회담 후 포드 CATL 합작 배터리 공장 재개하기로

포드가 CATL의 지원을 받아 미시간주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자료이미지 확대보기
포드가 CATL의 지원을 받아 미시간주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자료
미국 자동차 기업 포드가 21일(이하 현지 시간) 건설을 중단했던 미시간주 전기차(EV)용 배터리 공장 신축 계획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미·중 정상회담 이후에 나온 조치여서 주목받고 있다.

미·중 대립이 심화되면서 포드는 CATL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아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바 있다. 포드는 당초 예정보다 규모를 40%로 줄여 2026년 가동을 목표로 공사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포드는 지난 2월 미시간주 마셜에 새로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해 저가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하겠다고 발표했으나 9월 돌연 중단을 발표했다.

포드는 21일 성명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투자와 성장, 수익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규모를 축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월 발표된 당초 계획은 연간 생산량을 35GWh로 정했으나 20GWh로 낮출 예정이다. 직원 수도 2500명에서 1700명으로 줄일 방침이다.
포드는 생산량을 줄이게 된 이유로 미국 내 전기차 보급이 예상보다 느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포드는 지난 10월 전미자동차노조(UAW)와의 노사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후 총 120억 달러(약 15조4920억원) 상당의 전기차 관련 투자를 연기하거나 철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 여건에 더해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로 인건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CATL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는 마셜 공장 건설은 중국에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공화당 의원들로부터 줄곧 비판을 받아왔다. 포드는 이 공장을 완전 자회사로 운영할 것이라며 ‘미국산’임을 강조했지만, 전기차 공급망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배제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포드는 공장 건설 재개가 미·중 관계의 정치적 발전과 관련이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