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종목 총 주당순이익 향후 12개월간 58% 증가
삼성전자 내년 순이익이 3배 늘고 SK하이닉스 흑자 전환
삼성전자 내년 순이익이 3배 늘고 SK하이닉스 흑자 전환

연합뉴스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는 MSCI 한국지수 편입 종목들의 총 주당순이익(EPS)이 향후 12개월간 58%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 기업들에 대한 순이익 증가율 시장 전망치는 약 65%로, 비교적 중도적 예측 모델로 잡은 수치다.
내년 MSCI 신흥시장 순익 증가율이 평균 18.7%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의 증가 폭이 주요 신흥국 가운데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양대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이익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내년 순이익이 3배 늘어날 것으로 점쳐지고 있고 올해 적자의 늪에 빠졌던 SK하이닉스는 내년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경기가 바닥을 치면서 반등하고 인공지능(AI) 수요는 이런 흐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도체 가격이 지난해 4분기 수준으로 올라간다면 MSCI 한국 지수는 현 수준에서 20%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실적 호조 전망은 현 주가에 이미 일부 반영됐다.
MSCI 한국지수는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로, 한국의 대형주와 중형주를 포함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행진 중단 기대 역시 한국 증시에 대한 매력을 높이고 있다.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올리지 않아 달러 약세가 나타나면 원화는 강세를 띠게 되고 달러화 움직임에 민감한 한국 증시에 대한 호감도는 올라간다.
외국인들은 올해 한국 증시에서 6조8000억 원어치를 순매수해 지난 8월부터 3개월간 하락세를 나타냈던 증시의 회복에 일조했다.
국내 증권가도 반도체 업종의 회복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지난 13일 보고서에서 "올해처럼 국내 증시에서 업종별 호불호가 명확했던 적은 극히 드물었다"며 "외국인은 이달 들어 약 2조원의 순매수를 기록했는데 순매수 금액의 90%가 반도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반도체 업종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35%로 국내 증시가 11.5% 오른 것에 비해 크게 아웃퍼폼(시장수익률 상회) 하는 중"이라며 "이날 TSMC가 10월 매출이 전년 대비 16%, 전월 대비 35% 증가했다고 발표한 점은 이러한 센티멘트(투자심리)와 펀더멘털(기초여건)을 더욱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