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의 저궤도 위성 ‘우주 굴기’ 새로운 글로벌 안보 위협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중국의 저궤도 위성 ‘우주 굴기’ 새로운 글로벌 안보 위협

중국 지리자동차가 자율주행차용 저궤도 위성 11개를 발사했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지리자동차가 자율주행차용 저궤도 위성 11개를 발사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세계 최초로 차세대 6G 이동통신용 저궤도 위성을 쏘아 올리면서 중국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저궤도 위성 전략과 그에 따른 글로벌 안보 문제가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중국은 올해부터 10년에 걸쳐 저궤도 위성 2만6000기 이상을 발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난달 11일 닛케이신문은 “중국이 올해부터 저궤도 위성에 대한 통신망 구축에 착수한다”며 “국유 기업을 중심으로 2만6000개 이상의 위성을 발사해 세계 전체를 커버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이미 2020년 유엔에 1만3000개의 통신위성을 이용한 고속 데이터망 구축 계획을 제출한 데 이어, 이듬해인 2021년 ‘중국위성망락집단’을 설립하고 중국판 스타링크인 ‘궈왕(國網)’ 구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발표는 그 규모를 두 배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은 물론, 궈왕의 적용 범위를 스타링크처럼 전 세계로 확장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저궤도 위성망을 구축하고, 그 규모를 확대하는 것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러난 스타링크의 위력 때문으로 예측된다.
개전 초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통신 기반 시설을 파괴하며 통신 인터넷망이 엉망이 됐지만,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미국 정부가 지원한 스타링크가 기존 통신망을 완벽히 대체하며 우크라이나군은 끊김 없는 통신과 정보 교환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단지 러시아의 공격을 막아내는 것을 넘어 대대적인 반격까지 가능케 한 일등 공신으로 꼽힌다.

앞서 중국은 국가 안보 등을 이유로 미국의 GPS에 대항해 지난 2000년부터 자체적인 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 ‘베이더우(北斗)’를 구축한 바 있다. 2018년 첫 민간 서비스를 시작한 베이더우는 지난해 기준 친중 국가를 중심으로 200개 이상 국가에서 10억 명 넘는 인구가 이용 중이다. 파키스탄과 이란, 사우디아라비아와는 군사적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합의한 상황이다.

최근 들어 중국은 인도와 남중국해 인근 국가들과 끊임없이 영토 관련 분쟁을 확대하고 있는데다, 대만에 대해서도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유사시 무력을 동원한 병합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아시아 지역의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스타링크처럼 유사시 방어용은 물론, 공세용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구축은 인근 국가는 물론, 중국과 다방면에서 충돌하고 있는 미국 등 서방 국가에도 충분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물론 중국은 겉으로는 자율주행차량용 항법시스템, 스타링크처럼 도서 지역이나 인프라 낙후 지역, 재난 지역용 위성 네트워크 구축을 저궤도 위성 발사의 이유로 들고 있다.

다만, 민간 기업 주도로 구축되어 군사적 활용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있는 스타링크와 달리 ‘궈왕’ 구축을 주도하는 ‘중국위성망락집단’은 100% 중국 정부가 출자한 정부 산하 기업이다. 중국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군사적 사용이 가능한 셈이다.

중국이 막대한 물량을 내세워 저궤도 위성망을 장악할 경우, 필요시 상대 국가의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에 연결해 감청·해킹 등으로 각종 민감한 데이터를 빼내는 것은 물론, 유사시 정찰 자산으로 활용하거나 순항미사일 같은 각종 정밀무기의 유도에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찌감치 중국의 우주 진출을 경계해온 미국은 2019년 국방정보국의 ‘우주 안보에 대한 도전(Challenges to Security in Space)’ 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포함한 경쟁국들이 미국의 우주 지배력을 약화시키려는 기술을 발전시키고 우주를 무기화하고 있음을 명시한 바 있다.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공식적으로 ‘우주군’을 창설하고 중국의 우주 도전에 맞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이미 자체적으로 위성 발사는 물론, 우주정거장 구축이나 달 탐사선을 보내는 등 상당한 우주 기술 역량을 갖추고 있어 의지만으로는 중국의 우주 진출을 막기 힘든 상황이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력은 물론, 미국과 안보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중국과 연계된 북한과 머리를 맞대고 있는 한국 역시 공동으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함을 의미한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