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7 재무장관, 러시아 자산 활용·중국 무역 대응 ‘공통분모’ 모색한다

공유
0

G7 재무장관, 러시아 자산 활용·중국 무역 대응 ‘공통분모’ 모색한다

24일부터 이탈리아에서 개최되는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러시아 동결자산 활용 및 중국 무역 위협에 대응을 위한 방안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은 2021년 6월 영국에서 열린 G7 재무장관 회의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4일부터 이탈리아에서 개최되는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러시아 동결자산 활용 및 중국 무역 위협에 대응을 위한 방안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은 2021년 6월 영국에서 열린 G7 재무장관 회의 모습. 사진=로이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러시아 동결 자산 활용 및 중국의 무역 시장에서의 위협에 대응하는 방안 마련을 위한 공통분모 모색에 나선다.

22일(현지 시각) 로이터는 당국자들의 말을 인용해 24일 열리는 이번 G7 재무장관 회의는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자금 지원을 늘리기 위해 러시아 동결 자산의 수익 활용 시기를 앞당기는 것과 주요 부문에서 증가하는 중국의 수출력을 억제하기 위한 공통점을 찾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과 일본·독일·프랑스·​​영국·이탈리아·캐나다 등 주요 7개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수장들은 24~25일 이틀간 이탈리아 북스트레사에서 만나 관련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몇 주에 걸쳐 G7 협상단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동결된 주요 통화와 국채 등 3000억 달러 규모의 러시아 금융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 왔다.

특히 미국은 이 자산으로부터 미래의 수익을 창출할 방법을 찾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크라이나에 최대 500억 달러 규모의 단기대출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등 G7 국가 당국자들은 이를 위해 다양한 법적·기술적 검토가 필요한 만큼, 이 스트레사 회담에서 구체적인 합의가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대출 관리 주체 선정 △미래 이익 추정에 대한 보장 △러시아와 평화 협정 진행 시 대응 등이 주요 해결과제로 꼽힌다.

러시아는 서방세계가 자국 자산에 손을 댈 경우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없다고 거듭 경고하며 미국과 서방 국가들을 비난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EU 외교관은 “최종 결정이 내려지는 데 몇 달은 아니더라도 몇 주는 걸릴 것”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국제 무역 시장에서 중국의 공세에 대해서는 다소 이견이 있어도 공동 대응의 뜻을 모을 전망이다.
지난주 미국이 전기차용 배터리, 컴퓨터 칩, 의료 제품 등 다양한 중국 수입품에 대해 대규모 관세 인상 계획을 밝히면서 중국 관련 사안은 이번 회의의 중요 사안으로 급부상했다.

올해 의장국인 이탈리아의 지안카를로 조르제티 경제부 장관은 “미국의 조치 이후 지정학적 긴장이 반영되면서 ‘무역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글로벌 무역이 분열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 당국자는 미국이 다른 G7 국가 및 협력국들에 중국에 대해 비슷한 조치를 요구하지는 않겠지만, 중국의 산업 과잉생산에 대한 공통의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G7 공동성명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