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 등 7개 업체 요구 수용, 미국 투자 기업에는 세금 혜택

뉴욕 타임스(NYT)는 이날 “조 바이든 대통령 정부가 미국의 태양광 산업 발전을 위해 세금 공제 혜택을 제공해 왔고, 지난해에만 미국에서 30개 이상의 투자 계획이 발표됐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미국 태양광 관련 업체들은 중국과 동남아산 저가 태양광 패널에 밀려 생존 위협에 직면했다고 NYT가 전했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태양 전지에 대한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키로 한 데 이어 중국의 태양광 업체를 겨냥해 양면형 태양광 패널에 관세를 다시 부과하기로 했다. 또 중국 업체들이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를 통해 우회 수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들 동남아 국가의 태양광 패널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 조치도 종료했다.
미국 정부 당국은 지난달 15일 한화큐셀 USA 등의 요청에 따라 베트남 등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제품에 대한 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한화큐셀 USA를 비롯해 미국 최대 태양광업체 퍼스트솔라 등 7개 업체로 구성된 미국 태양광 제조업 무역 동맹 위원회(American Alliance for Solar Manufacturing Trade Committee)는 최근 미국 정부에 제출한 청원서에서 베트남 등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제품이 생산 원가 수준 이하에서 생산된 덤핑 제품이라며 정부 당국에 반덤핑 관세 부과를 요청했다.
한화큐셀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국에서 현지 공장을 건설했으나 저가 동남아산 제품으로 인해 위협을 받았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