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 통신장비 업체 비아샛(Viasat)에 대한 중국의 기존 제재 조치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결정의 배경으로 "중국은 '반(反)외국제재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대응 조치가 취해진 상황의 변화를 고려했다"고 밝혔지만, 더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다만 이런 입장은 '비아샛이 중국 관련 기업과 사업 협력을 추진 중인 데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은 무엇이냐'는 중화권 매체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반외국제재법에 따라 BAE시스템즈,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 에어로바이런먼트, 비아샛, 데이터 링크 솔루션즈 5곳을 제재한다고 밝혔다.
부과된 제재로 이들 기업은 중국 내 동산과 부동산 등 자산이 동결되고 중국 내 조직이나 개인과의 교류 및 협력 활동이 금지됐다.
당시 발표는 미국 국무부가 대만에 약 3억 달러(약 3912억원) 규모의 장비 판매를 승인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중국이 미국을 향한 본격적인 반격 조치에 나섰다는 분석을 낳았다.
이번 결정은 중국 정부가 특정 기업에 부과한 제재를 불과 몇 달 만에 뒤집었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반전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평가했다.
비아샛은 중국 관련 사업을 하는 여러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그중에는 지난해 인수한 영국 위성서비스 업체인 인마샛의 현지 지사도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중국 사업 비중이 높아 제재로 어려움을 겪어온 비아샛이 대중 투자 확대 등을 조건으로 중국의 제재 해제를 끌어낸 것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